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조경 디자인에 의한 재생 조경 디자인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Awareness of Regenerative Landscape Design Based on Post-industrial Landscape Desig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6
12P 미리보기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조경 디자인에 의한 재생 조경 디자인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9권 / 2호 / 291 ~ 302페이지
    · 저자명 : 양명월, 조택연

    초록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조경디자인(Post-industrial Landscape Design)으로 대표되는 재생 경관 디자인이 관심을 받고 있다. 노후화로 버려진 산업 시설을 리모델링하고이를 공공시설로 재활용하는 사회적 시도이다. 경제적가치를 잃은 산업 시설을 재생해 활력을 불어넣어 활발한 공공 활동의 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노후 산업 시설을 재생하는 디자이너의 디자인 전략은수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다. 재생 조경은 좋은 평을받지만, 연구가 주로 생태 및 경제 가치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이를 선호하는 감성 구조에 대한 논의가부족하다. 본 연구는 먼저 산업 후 시설을 활용한 조경디자인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재생 조경공간이 모두 친숙하고 참신하며 탐색적인 특성을 가졌음을 분석하였다. 둘째, 앞선 분석을 바탕으로 진화미학 이론으로 호감 특성의 구조를 이해한다. 즉, 재생 공간을 방문하는 사람은 장소에 남아 있는 산업시설의 역사와 익숙함에서 호감을 느낀다. 재생을 통해 업데이트된 공간 방문자의 호기심은 공간의 참신함으로 자극되어 탐색적 선호 행동을 유발한다. 마지막으로 신경 미학을 기반으로 방문객이 재생 조경을관람할 때 두뇌의 시각과 감정 관련된 영역을 활성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서 뇌의 보상회로가활성화돼 긍정적인 관람 체험과 정서가 생겨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서식지 선호와 뇌의 미적 구조에 부합하기 때문에 산업 시설을 재생한 조경디자인에 대중이 널리 선호하게 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진화미학과 신경 미학의 관점에서 재생 조경에 대한 심미적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생 조경디자인을 위한 타당성 역시 제안한다.

    영어초록

    Regenerative landscape design has been gaining attention for many years. Post-industrial landscape design is the typical form of regenerative landscape. It is based on the adaptive reuse of derelict sites and buildings to rejuvenate spaces that have lost their commercial value and thus become places of public activity. The design strategies have remained much the same over the years. Although regenerative landscapes are widely acclaimed, current research mainly focuses on ecological and commercial values, lacking an exploration of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pre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llates many design projects for analysis. The familiarity, novelty, and exploratory features have been found through the analysis. Secondly, combined with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evolutionary aesthetics, explain why each feature triggers a sense of familiarity. That is, visitors prefer familiarity with the history of the space and the original structures preserved on the site. The visitors’ curiosity is aroused by the novelty of the space after its renewal, which triggers exploratory behaviour in line with the exploratory preference. Finally, prior research based on neuroaesthetics has found that visitors to the post-communal landscape activate important brain areas related to memory, visual space and emotion. This process activates the brain’s reward circuitry, producing positive experiences and emotion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then used as a basement for making feasible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regenerated landscapes. This study analyses people’s aesthetic preferences for the regenerative landscape from evolutionary aesthetics and neuroaesthetics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