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美黃寺 掛佛圖 模寫를 통해 본 製作技法과 材料 硏究 (A study 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technique by observing copy of Gwaebul at Mihwangsa templ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美黃寺 掛佛圖 模寫를 통해 본 製作技法과 材料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42호 / 99 ~ 131페이지
    · 저자명 : 이수예

    초록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미황사에는 보물 제1342호로 지정된 괘불도가 있다. 미황사 괘불도는 2000년부터 매년 가을마다 개최되는 괘불재에서 그 모습이 공개되는데,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에서 괘불도를 거는 것은 문화재보존 차원에서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문화재 보존과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문화재청의 지원으로 미황사 괘불도를 모사하는 사업이 진행되었다. 미황사 괘불도는 길이 11.70m, 폭 4.86m의 대규모 불화인데 문화재 보존을 위한 기록화라는 취지에 맞추어 실물 크기로 현상모사하였다. 이 사업은 괘불도를 대상으로 한 모사도 제작에서 국내 최초의 사례이다. 본 논문은 미황사 괘불도의 모사도를 제작하면서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괘불도 모사의 제작기법과 재료에 관한 연구이다.
    미황사 괘불도는 1727년에 琢行·任閑·敏輝 등 7명의 화승에 의해 제작되었다. 임한은 18세기 전라도 지역을 대표하는 화승인 義謙과 더불어, 통도사를 중심으로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그가 조성한 불화 가운데 괘불도는 미황사 괘불도가 유일하다. 경상도 화승인 임한이 전라도 지역의 불화 조성에 참여하고 있어 특이한 사례로 꼽히며, 미황사 괘불도는 그의 초기 작품이라 그의 화풍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미황사 괘불도의 모사도를 제작하기 위해 몇 가지 사업을 진행하였다. 첫째는 미황사 괘불도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와 성분을 P-XRF 조사를 통해서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흰색·적색·녹색·황색·남색· 금색·옥색·육색 계열의 안료가 주로 사용되었고, 예부터 많이 쓰이던 광물성 안료가 사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는 바탕천의 재질을 분석하기 위해 섬유 분석과 린넨테스터를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 바탕천은 마섬유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미황사 괘불도의 모사작업은 천연 안료, 삼베, 천연순지 등 최대한 원본과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였다. 아교는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 가운데 안료와 가장 잘 혼합되면서 바탕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아교수의 농도를 찾아내어, 채색 과정에 적용하였다.
    모사도의 제작 과정은 원본의 그림을 베껴 그리는 전사를 시작으로 한지에 초 떠내기 → 1차 배접 → 아교 포수 → 삼베 위에 초 내리기 → 조채 → 채색 및 모사 → 2차 배접→ 장황 순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공정은 전통 방식대로 진행하고자 하였다.
    미황사 괘불도 모사 작업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미황사 괘불도 모사가 회화문화재 모사도 제작기법 연구 가운데 괘불도로서는 최초의 연구 성과라는 점이다. 둘째, 이후 진행되는 괘불도 모사도 제작의 연구 방향과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괘불도의 모사도 작성 사업의 발판을 마련하고 괘불도의 보존 대책에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괘불재 및 영산재 등의 야단법석 시 원본을 대신해 모사도를 활용함으로써 괘불도의 예술적 가치를 대중들에게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is Hanging Painting designated as Treasure No. 1342 at Mihwangsa located in Ddangkut (land-end) Village Haenam-gun Jeollanamdo. Mihwangsa Hanging Painting is opened to the public in Hanging Painting Ceremony and Temple Concert held by Mihwangsa every autumn from 2000 and it was very concerned to exhibit the competent cultural asset outside in front of numerous people. Thus, as a measure 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ihwangsa Hanging Painting, the Mihwangsa Hanging Painting Copy Project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rom 2012 to 2014. Mihwangsa Hanging Painting is a large Buddhist painting 11.70m in length, 4.86m in width and was reproduced to actual siz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ultural asset documentation despite its huge size. This is the Korea’s first case in the copy production research targeting Hanging Paintings. This is the study on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of Hanging Painting copy based on data accumulated while conducting the copy production project of Mihwangsa Hanging Painting.
    Mihwangsa Hanging Painting was produced by monk painters such as Takhaeng, Imhan, Minhwi etc. in 1727. With Uigyeom, a monk painter representing the Jeolla province in 18th century, Imhan is a monk painter who worked across the Gyeongsang region around Tongdosa Temple and Mihwangsa Hanging Painting is the only Hanging Painting among works created through his participation. It is considered as an unusual case because a Gyeongsangdo monk painter Imhan participated in the Jeolla region and is also an important work to study his painting style because it is Imhan's initial work.
    In order to produce the copy of Mihwangsa Hanging Painting, ingredients and types of pigments used in Mihwangsa Hanging Painting were analyzed through P-XRF irradiation and the material of the ground was revealed through textile analysis and Linlentuster. Surface pigments of Mihwangsa Hanging Painting were analyzed with XRF and as a result, the series of white, red, green, yellow, sky color, gold, turquoise, pink have been mainly used and pigments that have been used a lot from old times were detected in the ingredients of minerals used as pigments. The textile of the ground of Hanging Painting was found to be hemp cloth woven with hemp. On the basis of scientific findings, we purchased hemp cloth, natural pure paper etc. of the same material as natural pigments to conduct copy production and bought the glue sold in the market and then found the concentration of the glue that can securely attach pigment to the ground material while well mixed with pigment through the experiment and applied it to the copy coloring process.
    Starting with creating a copying drawing copying the original,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op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creating initial paper ->preparing the ground->backing initial paper ->lining the ground ->gluing-> pouring candle drippings on the scene->making a coloring table ->coloring -> lining -> picture mounting. All processes were conducted in the traditional way.
    This copy project of Mihwangsa Hanging Painting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Mihwangsa Hanging Painting copy is the first research performance as Hanging Painting among studies on painting cultural asset copy production technique and will present the research direction and standards of Hanging Painting copy production conducted afterwards and established a foothold of copy creation projects of Hanging Painting and prepared for a real alternative to the conservation measures of Hanging Painting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tell the artistic value of Hanging Painting through events and exhibitions by replacing events such as Yongsanjae (a Buddhist ceremony), Hanging Painting Ceremony etc. with cop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