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서양의 차이와 반복 관점으로 본자연의 숭고미 표현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Sublime Beauty of Nature from the Viewpoint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from East and Wes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8
32P 미리보기
동서양의 차이와 반복 관점으로 본자연의 숭고미 표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23권 / 23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이 논문은 자연의 운동성과 자연의 생명성을 이루는 ‘자연의 힘’에 대한 탐구로부터 자연의 차이와 반복의 발생 원리를 포착해 제작한 작품을 토대로, 연구자 작품에 표현된 숭고미의 조형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자연의 기운> 연작으로 구성된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자연 현상 이면에 작용하고 있는 차이와 반복의 발생 원리에 주목하고, 이를 기(氣)나 도(道),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을 통해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차이의 원리가 감성적 차원에서 숭고라는 미적 차원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차이와 반복의 원리가 회화적으로 어떻게 숭고의 미적 형식으로 실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숭고를 초월론적 감각과 상상력의 실행, 그리고 이로부터 자연의 발생 원리로서 도(道)와 차이의 원리를 파악하는 과정과 그 정서적 결과로 간주한다. 이때 차이의 원리는 숭고의 감정 속에 명상적 상태나 차이의 역동적 발생 과정 그 자체에 신화화된 신비감의 느낌으로 파악된다. 그것은 연구자의 작품에서 자연을 다른 하나의 객체로 은유화 하는 방식으로 나타낼 때, 인간적 관점의 투영으로서 의인화가 아니라, 자연의 강도 발생에 내재한 성질 그 자체를 이미지로 표상한 결과이며, 이는 순수한 자연의 운동 안에 내포된 강도의 차이와 힘들을 숭고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켜왔다.
    연구자는 숭고의 미적 차원을 명상적 숭고와 역동적 숭고의 두 방식을 통해 나타내었다. 그리고 연구자 작품은 차이와 반복, 그 안에 있는 강도의 원리를 회화적 실천에서 포착할 때, 물질적 상상을 할 수 있는 아날로공의 이미지, 중첩된 형상, 모호하고 불확정적인 형상성 안에 표현함으로써 회화적 형태로 나타내었다.

    영어초록

    I have been working with interest in the motility of nature. Observation of the natural motion led to reflection on what led to bringing the motion, and the result was the vitality of nature. The power of life creates and moves something in nature. I have confirmed that the power of life is 'difference and repetition.' I have developed on capturing principle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the infinite dynamic movement of waves and clouds to make images. Most of the works compose a series of "Aura of Nature," which visualized the energy of nature as written in the title. The energy can be described as spirit(氣) and moral(道) in the eastern viewpoint; and as the difference in Deleuze's viewpoi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ocus on how the occurrence principle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affect natural phenomena, theoretically clarify it through the philosophy of moral and difference, and analyze how the principles of difference can be expressed as the aesthetic form, sublime, in the sensory viewpoint. Specifically, it explores how it relates to the principles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e sublime aesthetic form in picturesque practice. From this viewpoint, my work sees that the principle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the dimension of transcendental and intense sensibility are the foundation of all-natural phenomena. Also, it pursues how it can be visualized pictorially and expressed in any sensuous mechanism and formal structure. The moral or difference principle exists in a completely different form from the dimension of phenomenal appearance. They are different from the natural appearance that we consciously deal with; because they do not have a fixed shape nor are visible,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hard to know unless they felt special or reflected. Therefore, it is transcendental. The question is how the painting can reveal or convey this dimension to viewers. My work is the result of these pictorial studies on this.
    This study introduces two philosophies to examine the principle of natural occurrence from theoretical aspects. One is the Eastern moral thought, and the other is Deleuze's philosophy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These two thoughts and philosophies agree that the foundation of nature and the world is 'difference,' although they were born in different eras and cultur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s the source of all creations.
    In brief, 'difference and repetition,' the common point between Lao-tzu's moral and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is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natural ontologic occurrence that I seek. The natural phenomena repeat differently at every time due to differences; they occur with different intensities at every moment at the same time. The principle of difference becomes an object of thought as it’s at the level of a transcendent idea, whereas what is given to our sensibility can only be given as intensity. In other words, differences in intensity and its occurrence movements bring natural motions and cyclical occurrences. What Deleuze refers to as intensity cannot be divided and itself consists of differences in differences. At this time, emotion creates the sublime aesthetic mechanism by executing transcendent.
    The sublime is an aesthetic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representation sensibility and imagination stop, and the transcendent sensibility and imagination are pushed to the limit. Kant says that the sublime phenomena are transitions from discomfort caused by a failure of sensibility and imagination to a feeling of pleasure that arises when rationality captures infinity. However, I consider the failure of representation sense and imagery in the sublime - rather 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sult on the principle of moral and difference as the implement of transcendental sensory and imagination, and the principles of nature arising from it. At this time, the principle of difference is understood as a mysterious feeling mythicized in a meditative condition in the sublime emotion or a process of the dynamic process of differences.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principle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e form of the intensity of difference works emotionally, these senses, perception, and the transcendent practice of sensibility, are given as an aesthetic form of the sublime. In this respect, the work can be said that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e difference in intensity are revealed as the sublime aesthetic form.
    In conclusion, I have defined the foundation of nature as the principle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based on this, I have identified that my work brings the fundamentals and senses pictorially and cause to thin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