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왕실미술품에서 표현된 한국 전통 조형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Beauty of a Sculpture in Joeson's Royal Work of Ar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0.08
14P 미리보기
조선 왕실미술품에서 표현된 한국 전통 조형미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1권 / 4호 / 197 ~ 210페이지
    · 저자명 : 장미경, 최원아

    초록

    한국의 전통미는 대부분 민간의 예술품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우리 전통예술을 구성하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왕실미술품에 대한 연구는 그 미술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수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는 디자인의 시각 요소 및 한국의 전통적 비례인자를 통해 조선의 대표적인 왕실예술품인 어보(御寶)의 조형미를 분석해 보았다.
    조선어보의 조형적 특징은 임진왜란을 분기점으로 조선시대 전기와 조선후기 및 말기가 뚜렷이 구별된다. 시각요소에서는 재질(금․옥)과 색상(황색․적색)은 어보가 가진 상징성으로 인해 극히 제한되어 있으나, 형태 및 시각적 질감을 통해 조형미에 변화를 주고 있다. 즉, 조선전기의 어보는 장식성을 배제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소박하고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는데 비해, 조선후기 및 말기로 가면서 장식성이 증가하고, 용두귀(龍頭龜)등 왕실 권위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 더해지면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크기와 비례 면에서는 조선전기 어보가 한국적 비례인자, 즉 구형이나 3:4의 비례를 구현하면서 안정감과 미적 쾌감을 주고 있는데 비해, 조선후기․말기의 어보는 형태의 다양함 속에서도 정방형의 비례가 압도적으로 나타나, 당쟁과 외침이라는 내우외환의 불안한 환경 속에서 안정감 보다는 변화를, 미적 쾌감보다는 왕권 강화와 왕실의 안녕을 바라는 왕실의 바램이 우선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ost of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of sculpture has been done round civil works of art. There in not much a study of royal art, a part of traditional art, despite it's art-historical value. This study analysis beauty of sculpture in royal seals that are typical of Joeson Dynasty's art, and proceed by using the visual factors of design and Korean traditional proportion.
    The formative features of Joeson's royal seals distinguish clearly before an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erms of visual factors, quality of the material(gold and jade) and colors(gold, red) of royal seals was limited by it's symbolism. But it's beauty of sculpture was added verity through change in form and visual texture. In the royal seals of former period of Joeson Dynasty, it gives impression of simplicity and refinement by exclusion of excessive fanciness and a realistic description. But this features was changed since entering the latter and last of Joeson Dynasty because of increasing fanciness and description in order to emphasize authority of the Royal.
    In terms of size and proportion, the royal seals of former period of Joeson Dynasty give impression of stability and aesthetic pleasure through keeping the Korean proportion, or 3:4 proportion. While in the latter and last period of Joeson Dynasty, it has squre(1:1) proportion much more than other proportion. In unstable circumstance caused by invasion of other country and domestic power struggle, it gave priority to a change and the Royal's wish that is strengthen of king's authority and continuous prosperity of the Royal than stationary stability and aesthetic pleas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