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적 가상과 놀이-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Aesthetic Illusions and Play-A Critical Approach to Adorno’s Aesthetic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미적 가상과 놀이-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23권 / 4호 / 109 ~ 136페이지
    · 저자명 : 박영욱

    초록

    아도르노의 미학이론은 예술작품을 정신의 발현물으로 본다는 점에서칸트와 헤겔 미학이론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그의 미학이론은 부정성의 순수한 형태를 고수한다는 점에서 칸트와 헤겔의 미학이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특징을 지닌다. 칸트나 헤겔의 경우 예술작품은 이념을 구현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아도르노에게 그러한 이념은 가상(Schein)에 지나지않는다. 가령 헤겔이 시민사회의 진리로 간주하였던 보편적 개인이라는 이념 또한 아도르노의 기준에서 보자면 가상에 지나지 않는다. 아도르노가 예술에서 기대하는 것은 이러한 가상의 무실함을 드러냄과 동시에 가상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작품은 항상 역설(Paradoxie)의 상태에 있으며, 예술은 고통의 표현일 수밖에 없다. 아도르노가 보기에피카소, 베케트, 보들레르와 같은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예술은 바로 부르주아 사회에서의 좌절감이 표현된 것이다. 예술은 그러한 좌절감을 통해서 긍정성(Affirmativität)이라는 이데올로기적 순응을 넘어서는 비판적 기능을수행한다.
    이러한 좌절과 고통의 매커니즘을 예술 일반의 논의로 확장할 경우 그것은 동시에 ‘놀이’(Spiel)의 요소를 끌어들이게 된다. 아도르노의 미학에서놀이는 어떠한 정신성도 결여된 단순한 것으로서 사물화의 한 현상으로 경멸적 대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예술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세계)과 표현(미메시스)이 결코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요동하는 힘의 놀이(유희)는 예술 자체의 특성이기도 하다. 물론 아도르노는 놀이의 두 가지 차원을 절대적으로 다른 것으로 전제한다. 그의 이러한 이분법은 놀이적인 요소가 강한 예술(가령 쇤베르크 이후의 새로운 음악이나 대중음악 일반, 통속소설, 키치적인 성격을 지닌 팝아트 등)을 정신성을 결여한 사물화된 의식의표현으로 간단하게 취급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영어초록

    Adorno’s aesthetic theory inherits German idealist aesthetic theory in that it regards the art works as the manifestations of Spirit. But Adorno sticks to the principle of ‘negativity’ unlike german idealists such as Kant and Hegel.
    While they think of the art works as the realizations of the idea, Adorno considers the ideas as illusions. For example the universal individual that Hegel regards as the truth of ‘civil society’ is revealed as a mere illusion in Adorno’s philosophy. It’s exactly the nothingness and necessity simultaneously that Adorno anticipates in the art. Therefore the authentic art works are always in the state of paradox,and express the fundamental anguish and despair.
    It is very curious that the mechanism of anguish and despair coincides with that of ‘play’. Basically play is the negative factor that Adorno’ aesthetics contempts because it lacks spirituality. But virtually it is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art that comes out the fact that the object(or world) the artist expresses and expression(mimesis) never comes to an accord. Adorno considers these two kinds of play as totally different factors. This dichotomy leads Adorno to the critical attitude on the new trend arts such as new music after Schoenberg, jaszz, pop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