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秋史 글씨 <金福奎·金箕鍾 旌閭碑> 서예미 고찰 (A Study on Chusa’s Handwriting on Gim Bok-gyu⋅Gim Gi-jo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9
23P 미리보기
秋史 글씨 &lt;金福奎·金箕鍾 旌閭碑&gt; 서예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43호 / 135 ~ 157페이지
    · 저자명 : 한용화

    초록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추사 김정희가 쓴 <金福奎·金箕鍾 旌閭碑>에 대한 서예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러한 시도는 <김복규·김기종 정려비>가 <夏承碑>에 근저 해서 썼다는 기록에서 시작하였다.
    旌閭란 충신. 효자, 열녀에게 임금이 표창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치 이념으로 삼고, 삼강오륜에 입각하여 충신, 효자, 열녀 등을 旌閭 함으로써 백성들의 모범이 되도록 하였다. 한 집안에 정려된 사람이 있으면 정려를 나타내기 위해 정려각을 지어 그 내부에 정려비를 세우기도 하였고, 또 정려를 나타내는 旌門을 세우고 그의 정신을 기렸다.
    본 논문은 첫째, <金福奎·金箕鍾 旌閭碑>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둘째, <하승비>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추사가 살았던 시대 18세기에 <하승비>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내용을 확인하였다. 셋째, 추사는 비첩을 통하여 서체의 창신을 주도한 서예가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추사는 18세기에 관심이 높던 <하승비>의 필의를 가져와 <정려비>를 썼지만, <하승비> 보다 세련된 법고창신의 서예미를 창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usa Kim Jeong-hui’s handwriting on Kim Bok-gyu⋅Kim Ki-jeong Jeongnyeobi (金福奎⋅金箕鍾 旌閭碑) an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This is based on the records that Gim Bok-gyu⋅Gim Gi-jong Jeongnyeobi has its roots in Haseungbi.
    Jeongnyeo refers to the the king's commendation to loyalists, filial sons, and chaste women. During the Joseong Dynasty, Confucianism was the national ideology. Based on the Samgangohrun(三綱五倫) in Confucianism, loyalists, filial sons, and chaste women were commended (旌閭) so they could set an example for others. If a family member was commended, to signify the commendation, a commemorative pavilion would be built, in which there was a jeongnyeobi. Also, there would be a memorial gate (旌門) to signify the commendation and honor their spirit.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in detail Gim Bok-gyu⋅Gim Gi-jong Jeongnyeobi. The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great interest in Haseungbi during the 18th centuries when Chusa lived. Lastly, it was identified that Chusa emphasized training of rubbings (碑帖).
    In conclusion, although Chusa wrote the jeongnyeobi based on Haseungbi's handwriting(筆意) that received great interest during the 18th centuries, he created a new type of calligraphic beauty based on the existing Haseungbi that is even more sophistic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