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산 미발표작 「새양쥐」, 「遺産」의 여성 인물 형상화 방식 (A Study on the Female Character in Kim Jeong-han’s Unpublished Works, “Saeyangjwi” and “Yus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02
26P 미리보기
요산 미발표작 「새양쥐」, 「遺産」의 여성 인물 형상화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93권 / 119 ~ 144페이지
    · 저자명 : 손남훈

    초록

    요산의 여성 인물 형상화 방식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30년대작품은 부정적으로, 70년대 작품은 긍정적으로 가치 평가하고 있다. 이논문은 요산의 미발표작 「새양쥐」와 「遺産」에 나타난 여성 인물 형상화방식을 검토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재고하고자 한다.
    「새양쥐」는 1936년 12월에 쓰여진 작품으로 부부 간 갈등을 묘사하고 여성의 가출을 결말로 제시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 요산의 다른 작품들에서 여성 인물이 모성적 존재로 규정되고 있는 것과 달리, 이 작품은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여성이 긍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동시대 남성 작가들이 여성의 가출을 부정적으로 보고있는 것과도 차이가 있다. 일찍부터 여성 인물을 능동적으로 그려내었던 요산의 태도는 훗날 구여성을 긍정하는 「수라도」나 일본군 위안부출신 여성을 피해자로서가 아닌, 적극적인 인물로 제시한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의 기저가 된다.
    한편, 「遺産」은 1964년 8월에 탈고한 작품으로 딸과 아버지 간의 대화를 통해 4월 혁명과 5ㆍ16 군사쿠데타로 이어지는 격변의 시기에 현실에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 당시 교수직에서 파면당하고 생존의 위기까지 겪은 요산은 이 작품을 쓰면서 무기력하고 체념적인 아버지의 입장이 아니라 현실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딸의 입장에 암묵적으로동의하고 있다. 이 작품은 절필 기간 동안 가질 수밖에 없었던 창작 활동에 대한 내적 번민과 갈등을 끝내고 요산이 스스로의 의지를 다잡고 현실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자 다짐한 결과물인 것이다. 머지않은 1966년, 요산이 「모래톱 이야기」로 소위 ‘문단 복귀’할 수 있었던 것은 우연이아니었다. 특히 이 작품의 마지막에는 아버지에 대한 딸의 항변 속에 탈식민주의적 태도가 엿보이는데, 이는 훗날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로이어지는 밑거름이 된다.
    「새양쥐」와 「遺産」은 모두 여성을 초점 인물로 내세울 뿐 아니라 작품의 화자를 지식인 남성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이지식인 남성 화자는 「새양쥐」에서 가출한 여성을 지지하고 있으며 「遺産」에서는 신세대 여성의 현실 저항적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요산은 여성을 30년대와 60년대 초에 능동적이고 진취적인 인물로 긍정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요산 문학에 대한 페미니즘적 접근을 재고하게 하고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ortrayal of female characters in writer KimJeong-han’s novel have a negative view on his work in the ’30s while having a positive view onthe work in the ’70. However, this paper aims to take into reconsideration the previous studiesby looking at how the female characters were represented in his unpublished works“Saeyangjwi” and “Yusan”.
    “Saeyangjwi”, written in December 1936, has described marital conflict and it ends withthe female character’s leaving her home. While the female characters in Kim Jeong-han’s otherworks were framed in motherhood, a woman in “Saeyangjwi” who actively criticizes the patriarchalideology is depicted positively.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other male writers’ negativeperspective on the runaway-women of that time. His earlier point of view on the active femalecharacter became a foundation for his future work “Surado” and “A letter from Okinawa”.
    The “Surado” is affirmative to the life of an old woman and “A letter from Okinawa” describes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for Japanese soldiers not as a victim but a proactive figure.
    “Yusan”, his another unpublished work completed in August 1964, is asking us through adialogue between the daughter and father how to take a stand in the era of cataclysmic changesuch as April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At that time, the writer Kim Jeong-hanwas expelled from his professorship and struggling with his life. It is shown that he has giventhe tacit support not for the father who is feeling helpless and pessimistic but for the daughterwho is being critical and opposed to reality. It is interpreted that the “Yusan” is the result of hisdetermination to continue the writings and to raise his voice against the reality with the end ofhis internal struggles. This enabled him to return to the literary scene in 1966 with his novel“Molaetob iyagi”. At the end of the “Yusan”, a post-colonial perspective is observed when thedaughter speaks up against her father, which leads to the Kim Jeong-han’s future work “A letter from Okinawa” in 1977.
    Both “Saeyangjwi” and “Yusan” not only have set a male intellectual as a narrator but alsopresent a female as a central character. The intellectual male narrator supports the runaway femalein “Saeyangjwi” and listens to the voice of younger generation women who stands againstreality. In short, the writer Kim Jeong-han had portrayed women as a proactive figure in hisnovel in ’30 and early ’60, which allows us to revalue his work in terms of fem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