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취학 아동 학부모의 식품 알레르기 인지도와 영양관리 (Food Allergy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by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10
14P 미리보기
미취학 아동 학부모의 식품 알레르기 인지도와 영양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1권 / 5호 / 426 ~ 439페이지
    · 저자명 : 김수빈, 김정희

    초록

    본 연구는 식품알레르기 유무에 따라 미취학 아동의 식습관과 학부모의 지식 및 관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식품알레르기 군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미취학 아동 158명 중 남아 48.7%, 여아 51.3%이었다. 모유수유율은 식품알레르기군, 기타 알레르기군, 비알레르기군 순으로 높았고, 이유식 평균 시작 시기는 식품알레르기군이 7.05 개월로 기타 알레르기군, 비알레르기군 보다는늦게 시작하였다. 그러나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성장지연의문제는 없었다.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식품알레르기군(65.2%), 기타 알레르기군(51.9%), 비알레르기군(26.7%)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2) 미취학 아동 중 출생 후 현재까지 식품알레르기 증상을경험한 경우는38.6%이었지만, 의사 진단을 받은 경우는17.7%로 낮았다.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아동 중80.3%가 식품을 제한하고 있었고, 제한 근거가 의사의 진단이 42.6%, 자의적인 경우가 37.7%로 나타났다.
    3) 의사의 진단을 받은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은 계란, 우유, 밀가루 등 이었다. 식품알레르기 증상 경험에 따른 원인식품은 새우, 가공식품, 유제품, 밀가루 등으로 진단받은 원인식품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4) 미취학 아동 학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용어 인지도와 지식은 식품알레르기군이 기타 알레르기군, 비알레르기군보다는 높은 경향은 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련지식 평균 점수는 식품알레르기군이 5.76 점으로 다른 두 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5) 식품알레르기군 중 제한식이로 대체식품을 제공하는경우는 61.5%이었다. 하루의 식사 빈도가 4회 이상인 경우가 식품알레르기군, 기타 알레르기군, 비알레르기군 순으로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편식하는 경우 식품별 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알레르기군이 높았다. 간식종류는 세 군 모두 과일/채소, 고구마/떡, 스낵류 순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6) 식품섭취빈도조사 결과 식품알레르기군과 기타 알레르기군은 알레르기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라면/국수/빵, 계란, 요거트, 아이스크림, 계란)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7) 식품알레르기군 학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교육수강 경험률(28.3%)은 다른 두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식품알레르기군은 주로 병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세 군간교육수강 장소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원 요구사항은 모두 대체식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취학 아동 학부모의 식품알레르기 인식과 전반적 인 관리 현황을 알 수 있었다. 비록 학부모의 알레르기 인지 및 지식 정답률은 낮았으나 알레르기 관련 지원요구사항 및 교육 필요도가 높아 식품 알레르기에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국민영양조사 같은 전국규모의 조사가 필요하고 아울러 대상별 식품알레르기 교육자료의 개발 및 제공이 더욱 할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이 더 높은 보육기관 대상의 국가적인 식품알레르기 관리정책의 시행도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food allergy (FA) awareness and management by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requirements of food allergy support and differences in foo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allergic diseases, using a modifi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data of 158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90.3%)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ate of the preschool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y (FA, ever) was 38.6% while diagnosed for food allergy by doctor (Diagnosis of FA, ever) was 17.7%. Forty nine preschool children (80.3%) had food restriction, and twenty three of them (37.7%) had self-restriction without diagnosis.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allergenic foods in FA group, such as ramyeon, noodles, bread, eggs, yogurt and ice cream were significantly (p<0.001)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The major allergenic foods were eggs, milk, wheat and processed foods in FA group. The overall food allergy-related knowledge level of parents was insufficient. Only 26 parents (16.5%) had received training about food allergies. All parents wanted to receive food allergy-related supports. In addition, most of parents wanted information on substitute menu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y.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a lack of food allergy training for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necessity for food allergy education. Food allergy-related supports, such as menus without allergenic ingredients, guidelines for managing food allergy & anaphylaxis emergency care plan etc, should be provided to the parents in order to avoid events related to food aller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