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양교육의 미학적 차원 - 실러의 미학과 미적 교육 - (The Aesthetic Dimens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 Schiller’s Aesthetics and Aesthetic Education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04
26P 미리보기
교양교육의 미학적 차원 - 실러의 미학과 미적 교육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116권 / 2호 / 105 ~ 130페이지
    · 저자명 : 이경규

    초록

    AI의 광풍이 몰아치고 있는 오늘날 교육자로서 인간에 대한 고민이 크다. AI를 발전시키고 경제화 하는 데 모든 관심이 쏠리고 있는 이때, 인간의 본질과 의미를 묻고 성찰하는 것이 교양교육의 과제일 것이다. 우리와 유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유한 선각자가 있으니 바로 프리드리히 실러다. 그는 문명의 발전으로 황폐해진 인간성과 분열된 사회를 비판하고 그 치유책으로 미적 교육을 주창한바, 이것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재음미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실러는 계몽주의가 감각과 이성, 물질과 정신, 경향과 의무, 진과 선 등을 끝없이 갈라놓았다고 진단하고 이 분열을 조화와 통일로 바꾸기 위해 眞이나 善이 아니라 美가 절실하다고 봤다. 그의 미학과 미적 교육은 여기서 출발한다. 실러는 순수한 자기 규정성으로서의 자유를 미의 본질로 파악하고 그 원리를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 사물에까지 적용한다. 이 미적 자유가 인간에게는 유희정신으로 구현되어 전인성과 총체성을 구현한다고 본다. 미적 교육은 여기에 기반한다. 실러의 미적 사유는 오늘날 맹목적인 과학기술의 발전과 자본주의적 폭압 아래 피폐해진 인간성을 회복하고 아름다운 사회를 구축하는 데 의미 있는 참조가 되리라 생각한다. 즉, 본고는 실러의 인간학적 미학을 자세히 고찰하고 그것이 주는 교육적 함의를 추적한다. 다만 실러 자신이 미의 원리와 본질에 천착하고 구체적인 교육론을 서술하지 않았듯이 본고에서도 원리적인 교육론을 살피고 실천적인 의미의 미적 교육 방안은 독립적인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Today, as the AI ​​craze rages,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humans is more urgent than ever. At a time when all attention is focused on ways to upgrade AI and utilize it economically, it would be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to ask and reflect on its meaning from a distance. At times like this, when we look back at history, we encounter a pioneer who had insight into problems similar to ours and thought about alternatives. Friedrich Schiller of the late 18th century witnessed a society devastated by humanity and divided by the Enlightenment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proposed aesthetic education as a remed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is from today's perspective. Schiller reflects on the problem of the Enlightenment, and believes that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e splits between sense and reason, matter and spirit, tendency and duty, change and constancy, truth and good, etc. Therefore,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to overcome the splits and achieve harmony and integration, but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truth or goodness is not desirable. Beauty, whose essence is freedom as self-determination, should become the central concept of education.
    Schiller defines beauty as ‘freedom in phenomena’ and sees it as the most autonomous and subjective value, free from all external factors or coercion.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freedom and autonomy can be cultivated through aesthetic opportunities, whether nature or art. Next, beauty takes the form of harmony and unity, which appea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difference and diversity, and the part and the whole. The active way to achieve this harmony and unity is play and the impulse to play. In other words, the human impulse to play combines the human sensory and rational impulses in the most beautiful and healthy way. Therefore, as long as humans play, they become whole people and recover their original human wholeness. Schiller's logic and argument is that people who have recovered their wholeness in this way can be happy themselves and make society and the country beautiful. In this way, the core concepts of Schiller's aesthetics are beauty and play, and this is believed to be an opportunity to restore human integ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