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esthetic Expression in Guunmo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08
31P 미리보기
&lt;구운몽(九雲夢)&gt;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8호 / 173 ~ 203페이지
    · 저자명 : 강혜진

    초록

    본고에서는 <구운몽>에 나타난 표현상의 특질을 살펴 그것이 지향하는 아름다움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구운몽>은 사대부 문인에 의해 창작된 고전소설이므로, 본 논의를 통해 사대부 문인의 의식 세계와 고전소설에 기반한 한국적 아름다움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예상했다.
    그리하여 <구운몽>에서 아름다움에 관한 표현들(이하 미적 표현)을 살펴본 결과 크게 두 양상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비움의 미적 표현으로, 깨끗하게 씻겨지고 비워지는 방향으로 아름다움이 구현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주로 맑음과 관련된 투명함의 시각적 이미지와 차가움의 촉각적 이미지가 활용되었다. 반대로 풍성하게 채워지는 방향으로 아름다움을 구현하는 채움의 미적 표현도 나타났다. 밝음과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와 패옥⋅풍악의 청각적 이미지, 향의 후각적 이미지, 요리의 미각적 이미지 등이 채움의 미적 표현으로 활용되었다.
    비움의 미적 표현과 채움의 미적 표현은 각기 성진의 세계와 소유의 세계의 성격을 표상하는 데에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수사적 기능만 행한 것은 아니다. 미적 표현은 세계 전환을 예비하고 자연스럽게 형상화하는 역할을 했으며, 주제를 구현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다. 특히 이는 3차 세계 전환에 해당하는 결말부에서 잘 드러난다. 채움과 비움의 미적 표현이 오묘하게 어우러짐으로써 궁극의 이상적 경지가 묘사되고 있었다.
    이처럼 <구운몽>의 미적 표현은 사대부가 중시하는 정신적 가치들과 공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었다. 채움의 미적 표현을 통해서는 조화롭고 고상한 삶의 성취가, 비움의 미적 표현을 통해서는 현세에 얽매인 삶의 초탈이 꿈꿔졌다. 또한 그 둘을 넘어서는 궁극의 깨달음도 미적 표현을 통해 구현되었다. 어느 것이든 간에 <구운몽>의 미적 표현은 이상을 상정해놓고 그리로 향하는 특질을 보여주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look at a phase of beauty represented by classical novel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esthetic expression of Guunmong. In particular, Guunmong was created by a literati, so it was expected that the aesthetic expression would be able to extract the beauty that was combined with the nobility’s world of consciousness.
    Thus, the aesthetic expression of Guunmong confirmed two major aspects. One was the aesthetic expression of emptiness, by which beauty was being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being washed clean and emptied. Therefore, visual images of transparency and tactile images of coldness, mainly related to clearness, were utilized here. On the contrary, there were aesthetic expressions of filling that embodied beauty in the direction of abundance. These include visual images related to brightness, auditory images of jade and music, olfactory images of incense, and tasteful images of cooking.
    The aesthetic expression of emptiness and the aesthetic expression of filling were mainly used to represent the character of Sungjin’s world and the Soyou’s world, respectively. However, such rhetorical functions are not the only ones that have been performed. More active functions were also found; first of all, attraction, a function in terms of narrative development. It is a function that induces a change in the main character’s behavior and thus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The second is the function of global transformation. The world of Guunmong was being transformed three times, and aesthetic expressions were being used to make the transition natural. Third is the function of subject implementation. This, in particular, is well illustrated in the end of the third world transition. The aesthetic expressions of fill and emptiness were subtly blending together to embody the ultimate ideal.
    As such, the aesthetic expression of Guunmong was characteristic in that it resonates with the spiritual values that nobility appreciates. Through the aesthetic expression of fill, a harmonious and noble life was dreamed. Through the aesthetic expression of emptiness, rising above the common life tied to the present world was dreamed. The ultimate realization beyond the two was also embodied through the aesthetic expression. Either way, the aesthetic expression of Guunmong showed the character of assuming ideals and heading toward those ide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