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취학 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6.06
8P 미리보기
미취학 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개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1권 / 3호 / 338 ~ 345페이지
    · 저자명 : 오유진, 김동식

    초록

    본 연구는 유아에게 적합한 영양교육 매체를 설계하고자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보호자 1,632명과 보육기관30곳에 유아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5점 likert척도로평가하였을때, 교사(4.46)와 보호자(4.19) 모두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유아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을 보면 교사(4.78)와 보호자(4.73) 모두 유아에게 가장 필요한영양교육은 식품위생이라고 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보호자는 식습관(4.70), 영양소(4.60), 편식교정(4.52), 식사예절(4.43)의 순서였으며, 교사는 편식교정(4.74), 바른 식습관(4.70), 식사예절(4.62), 영양소(4.48)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다.
    2) 보호자들이 유아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로 보호자(38.90%), 교사(50.0%) 모두‘교구, 교재의부족’때문이 가장 많았으며, 영양교육의 대상은 아동에게 직접 교육(53.3%) 되기를 원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3) 유아가 가장 많이 편식하는 식품을 보면, 채소류는‘당근’(32.8%), 어육류는‘육류는 모두 싫음’(25.0%), 곡류는‘밥’(37.8%), 해조류는‘미역’(71.0%) 등의 편식 비율이 높았다.
    4) 개발하고자 하는 영양교육 멀티미디어는 유아의 영양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교수설계모형으로 Dick & Carey (2001) 및 Alessi & Trollip (2001)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에서 유아 보호자 및 보육기관은 유아에게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적합한 교육 매체의 부재 및 시간 부족으로 인하여 적절한 교육을 하고 있지못하였다. 이에 시간적 제한이 없고, 유아에게 흥미를 이끌수 있는 개별화 학습 매체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연구에서 제시한 개별화 학습 및 내적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게임형태의 상호교류적 멀티미디어가 유아 대상의 영양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교자재가 될것이라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interactive multimedi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Computer technolog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xplore new and creative methods of delivering nutrition education to preschoolers. If this method is effective, more preschoolers can be reached with accurate and consistent nutrition education with less time and teaching staff. This program is a computer-based multimedi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based on the Dick and Carey (Dick & Carey 2001)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which includ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overall instructional goal was based on the needs of the target population. The needs assessment was a self-administered survey distributed to 1,426 parents of preschoolers, focusing on the need for preschoolers’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learn reasons for eating nutritious food. Therefore, a program titled “Nutrition Exploration” was developed with the instructional goal of teaching preschoolers the 5 Food Groups. To achieve this goal, the preschoolers were engaged in a game. They could earn colored jewels by completing the game in five sessions. The story line was that people living in a peaceful kingdom become sick after they lose the jewels. The learner takes an adventurous journey through five different countries to retrieve the jewels. These countries are “Giwoon nahrah” (foods containing carbohydrates, such as rice and potatoes), “Sangsang nahrah” (foods that are rich in vitamins and mineral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Sooksook nahrah” (calcium-containing products such as milk), “Teunteun nahrah” (protein-containing foods such as meat and fish), and “Gakeum nahrah” (products with high sugar and fat content, such as instant foods and soda). The learner who obtains five jewels in five different countries can save the kingdom. For the program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the multimedia had to be easy for the preschooler to enter, use, and exit. The verbal instructions enhanced child autonomy, and the program wa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so that the young child could easily manipulate the softwa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basis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3) : 338 ~ 345, 200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