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만하의 시론 연구 - ‘의지 세계’와 ‘미적 직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ics of Hur Man-Ha – focused on the ‘the world with will’ and the ‘aesthetic intui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9.02
35P 미리보기
허만하의 시론 연구 - ‘의지 세계’와 ‘미적 직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77호 / 191 ~ 225페이지
    · 저자명 : 최라영

    초록

    ‘海藻(해조)’ 즉 ‘바닷말’은 6.25전쟁 종군 중에 바닷가에 널브러졌던 체험과 결합적으로 작용한다. 즉 ‘해조림의 기억’과 관련한 전쟁체험은 그의 시에서 ‘비극성’과 ‘허무의식’의 근원을 이룬다. 그는 ‘해조림’의 기억을 통해 인류의 역사상 존재한 많은 전쟁과 무수한 사람들의 슬픔을 관조적으로 사유한다. 그는 주로 ‘의지 세계’의 원형적 특성을 ‘물’을 주요 모티브로 하여 형상화한다. ‘의지’의 표상으로서 ‘물’은 ‘좌절을 사랑한 적 없는 정신’으로 명명되며, ‘성운처럼 소용돌이치는’ ‘물살의 의지’는 ‘싱싱한 다랑어’ 혹은 그 해역 물고기의 ‘의지’로 전이된다. 시인은 ‘의지’가 실체화되고 전이되어 자연만물이 연관되는 ‘의지세계’의 영속성을 형상화한다. 그는 자연의 ‘의지세계’ 중에서도 인간의 ‘맹목적 의지’의 위험성에 주목하면서, 궁극적으로 그것을 조망, 극복할 수 있는 인간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그에게서 ‘정신’은 순수직관에 의해 표상의 세계들을 조망할 수 있는 ‘인간’의 특별한 힘, 즉 ‘직관’ 혹은 ‘관조’에 의해 구현된다.
    시인은 주로, ‘지층’, ‘벼랑’, ‘바다’, ‘사막’ 등, 지질학적 자연물을 중심으로 개별 생명체들의 ‘의지세계’를 조망하고 있다. 그는 풍부한 과학지식에 근거하여 그러한 자연물에 접근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 자연물에 몰입하는 하나의 계기로서 작용한다. 즉 과학지식과 연관된 그의 표현들은 과학지식이 무력해지는 지점을 노출하면서, 과학적 관점을 뛰어넘는 초월적 관점 혹은 시적 관점의 의미를 실감하도록 만든다. 그럼에도 풍부한 과학지식에 근거한 그의 상상력은 관조하는 자연물이 그 역사 속에서 어떤 생태와 변천을 겪어왔는지를 구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통시간적 상상에 의해 의지세계를 조망하는 것은 시인의 주요한 시적 원리이다. 그는 만물과 인류의 먼 과거와 미래, ‘거대한 역사’의 장면을 자유롭게 오간다. 그가 ‘해조의 기억’으로 표상되는, ‘전란의 체험’을 극복하는 방식 또한 통시간적인 ‘의지세계’의 조망과 관련을 지닌다. 시인은 자연의 생명체들의 ‘최후’ 이후에도 맹목적으로 영속하는 의지세계를 직관한다. 이 점에서 쇼펜하우어와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는 자연생명체의 ‘최후’에서 의지의 심연을 체험하고 그 순수성과 신비함을 초점화하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그의 ‘미적 직관’의 형상화에서 의지세계들의 갈등은 그것의 순수성과 유기성을 조망하는 배후에서 희미하게 드러난다.
    시인은 개별의지의 일시적 망각을 넘어, 만물의 의지세계와의 합일을 경유하면서 떠오른 ‘이념’의 세계를 예술의 언어로 빚어낸다. 그가 ‘은백색 빗줄기와 번개의 섬광’ 속에서 ‘수직으로 서 있는 눈부신 벼랑’을 말할 때, 그 자신도 ‘벼랑’이 되어 ‘수직으로 서 있’으며 ‘눈부신’ 존재가 된다. ‘낯선 천체 위에서 꽃들은 바람도 없이 온몸을 흔들고 있을 것이다’란 구절은 순수주관에 의한 ‘이념’의 신비한 세계를 가리킨다. 그것은 ‘바람도 없이’ ‘온 몸을 흔드’는 것 곧 ‘근거율’을 초월하여 그 자체로 존재하며 영속적으로 이어지는 세계이다. 그 세계는 조화로운 표상을 얻은 ‘의지’ 세계로서 시인은 이 심미적 형상이 ‘불멸의 언어’에 의한 것이라고 말한다. 만물이 소멸한 뒤에도 영속적 의지세계를 추억하는 존재는 ‘인간’이며 인간의 ‘미적 직관’에서 탄생한 ‘예술의 언어’라고 말한다.

    영어초록

    Poetic word ‘seaweed’ in his poetry expresses his past situation when he was ruined on the seashore rocks during service in Korean War. War experience related with ‘memory of seaweed’ is the main source of ‘tragedy’ and ‘nihility’ which compose his poetry. He thinks and expresses numerous people’s sorrow caused by a lot of wars in human history through the memory of seaweeds. He uses ‘water’ as a main motive to express ‘world with will’. The ‘water’ as a symbol of ‘will’ spreads to ‘fresh tuna’ or fish’s ‘will’ like a swirling nebula which resembles currents. He emphasizes human ‘spirit’ that can overcome the risks of their ‘reckless will’.
    He takes a view of individual creature’s ‘world with will’ mainly through geographical natural objects such as ‘a layer’, ‘cliffs’, ‘sea’, and ‘desert’. Imagination based on affluent scientific knowledge acts special role in describing and actualizing the transition and status of natural objects in their history. This view which looks the ‘world with will’ specifically through contemporary imagination is a basic principle of his poetry. He comes from and goes to sceneries of ‘immense history’, far past and far future of all natural creations and humankind. His way of overcoming ‘experiences of war’ represented by ‘memories of seaweeds’ is also related with this contemporary view of the ‘world with will’. He sees recklessly the permanent ‘world with will’ after the ‘last moment’ of natural creatures. Although he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Schopenhauer in this aspect, he has a distinction because he focuses on the purity and mystery of the will’s abyss through experiencing the ‘last moment’ of natural creatures.
    He writes poetry with the world of ‘ideology’ as a language of art through experiencing the ‘world with will’ and surpassing temporal oblivion of individual will. Speaking about ‘vertical standing, glaring cliffs’ in ‘silver white raindrop and flash of lightening’, he becomes ‘cliffs’, ‘stands vertically’, and be a ‘glaring existence’. A phrase, ‘flowers must be shaking the whole body above unacquainted celestial orbs’, refers to the mystical world of ‘ideology’ come up to mind by pure intuition. This mystical world is like a ‘shaking the whole body’ ‘without and wind’. That is to say, that is the permanent world that exists as itself transcending ‘principle of reason’. He says that this world is the ‘world with will’ acquired harmonic representative form, and ‘immortal language’ brings this aesthetic form. He remarks that ‘humankind’ can recollect perpetuating ‘world with will’ even after extinction of all creation, and poetry is the ‘language of art’ created in ‘aesthetic intuition’ of humank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