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시대 철릭의 조형미를 응용한 현대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Formative Beauty of Cheollik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9.06
18P 미리보기
조선 시대 철릭의 조형미를 응용한 현대패션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9권 / 2호 / 163 ~ 180페이지
    · 저자명 : 김혜림, 김혜연

    초록

    세계화와 함께 지역화를 추구하는 태도나 사고를 의미하는 글로컬리즘은 오늘날 하나의 사조로 구분될만큼 괄목할 만한 개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패션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바 우리의 정체성과 그 근원적인 뿌리에 대한 의미를 되짚어 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흐름을 반영하여 창의적 디자인 사고의 영감원으로서 조선 시대 철릭을 조명하고 그것이 지닌 독특한 조형미를 분석해 그를 새롭게 표출시킨 패션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시각자료 분석연구 방법을 병행했다. 연구 내용은 철릭에 관한 일반적 고찰과 조형미 분석 그리고작품 계획 및 결과 제시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로 철릭의 조형미를 선적 조형미, 비움과 채움의 공간미, 여유의 미, 비의 미로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작품 3벌을 제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적 조형미는 직선과 곡선의 공존과 조화로 나타났으며 비움과 채움의 공간미는 주름이 없는 공간과주름으로 채워진 공간의 병치미로 나타났다. 또한 여유의 미는 여유로운 형태와 실루엣으로 나타났으며 비의미는 가벼운 소재와 투시 소재에 의한 비상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작품에서는 철릭을 디자인모티프로 하되 분리와 결합, 도치, 방향 전환, 위치 변경, 생략, 중첩의 방법으로 디자인한 결과 선적 조형미, 비움과 채움의 공간미, 여유의 미, 비의 미를 토대로 한 현대적 감성이 나타날 수 있었다. 셋째, 주름진 소재여러 조각을 겹치며 반복 사용함으로써 풍성한 실루엣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레이어링의 역동적 율동미가표현되었다. 넷째, 빈 공간과 주름 공간을 병치시킨 결과 흥미로운 공간미가 나타났다. 색채와 재질을 통일감있게 사용한 경우는 극적 대립보다는 차분한 조화로움이 표현될 수 있었고 색채와 재질의 차를 크게 했을경우 극적이며 특정 공간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여유 있는 실루엣에 가벼운 흰색 소재의 새깃털 같은 주름들이 부가적으로 겹쳐짐으로써 비의 미가 강조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한국적 조형미를 특정한 구성 방법을 적용해 독특하고 현대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디자인 작품에 대한 발전적 행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oday, Glocalism which means attitudes or ideas pursuing both globalism and localism is rising as an eye-opening concept so it is even specified as the trend of the times. Such a trend has a great effect on the fashion world and there is an emerging need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our identity and its underlying roots. Hence, reflecting the current of the times,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Cheollik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a source for inspiration for creative design thinking, analyzing its unique formative beauty, and present fashion design expressing it in a new manner.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and visual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together.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it consisted of overall review of Cheollik and analysis of its formative beauty, plan for work and presentation of a resul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the formative beauty of Cheollik as beauty of linear form, that of space emptied and filled, that of composure and that of flight, and 3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m above were creat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eauty of linear form was represented as coexistence and harmony of straight and curved lines, and beauty of space emptied and filled was represented as juxtaposition of spaces with and without pleats. Furthermore, beauty of composure was shown from loose shapes and silhouettes, and beauty of flight was shown from an image of flight by light and see-through materials. With a design motif from Cheollik, the works in the research could express modern sensibility based on beauty of Cheollik as beauty of linear form, that of space emptied and filled, that of composure and that of flight through design by methods including separation and combination, inversion, switch of direction, change of location, omission and layering Thirdly, an ample silhouette was created by layering and repetitive use of several pieces of a pleated material and dynamic and rhythmical beauty of layering was expressed. Fourthly, juxtaposition of empty and pleated spaces resulted in beauty of interesting space. It was possible to express calm harmony rather than dramatic confrontation when using colors and texture in unity. Besides, there was a dramatic effect to emphasize certain space when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etween color and texture. Fifthly, beauty of flight was emphasized by layering of pleats like feather from a light and white material on an ample silhouette. Shown from research findings abov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unique and modern fashion design of Korean formative beauty by applying a specific composition method.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a developmental pathway for modern fashion design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