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적 경험의 인과성과 인간-기계의 상호작용 (A Study on the Caus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and Human-Machine Interac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02
30P 미리보기
미적 경험의 인과성과 인간-기계의 상호작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3권 / 65 ~ 94페이지
    · 저자명 : 이재준

    초록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는 인터랙티브아트를 포함해서 지능형 기계에 이르기까지 관련 기술문화를 다루는 초학제적 영역이다.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에서 인간과 기계의 작용/행동(action)은 유기체의 운동에서처럼 순환적 인과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자신의 둘레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인간이 수행하는 행동의 다양한 집적은 유의미한 경험으로 정의된다. 나아가 이는 기계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적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 경험주의자들은 인간이 기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정서적 고양과 더불어 미적 경험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은 미적 경험을 기술 개념과 함께 추상적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실제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실험 연구에 적용하기에도 개념상 과도하게 복잡하다. 따라서 본고는 인간과 기계 상호작용의 성격에 부합하는 미적 경험의 순환적 인과성을 해명하고, 이를 HMI의 한 분야인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된 체계적 도식을 설명한다.
    기계 메커니즘을 선형적 인과성에 따라 설명하려는 근대적 사유는 기계주의 개념을 통해 비판 가능하며 사이버네틱스와 자기생성이론은 기계의 순환적 인과성을 옹호한다. 기계의 순환적 인과성은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적 관계에도 적용되며, 이러한 관계에 미적 경험을 도입할 수 있는 이론사적 근거들이 마련된다.
    다른 한편 미적 경험의 구성에서 순환적 인과성은 이미 근대미학의 발생기에 흄의 취미론에서 발견된다. 세련된 취미능력의 상징인 ‘진정한 비평가’는 미적 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지속적인 반복 훈련, 즉 ‘시간의 테스트’를 통과한 인물이다. 나아가 미적 경험을 시간적 운동에 의한 인지적 구성작용으로 이해함으로써 그러한 경험에서의 ‘정서’와 ‘가치’를 근대적 잔재로서 부정하고 미적 경험을 비판하려는 논의를 극복한다. 이를 통해 미적 경험을 지속적인 반복에 의존하는 인지적-정서적 요소들 간의 의미 구성작용으로 정의한다.
    또한 인지정서이론의 인지-정서-적응 체계와 첨단 로봇의 시스템을 미적 경험의 개념적 논의들을 토대로 재해석함으로써 HMI 연구에 적용되기 위한 조건들에 충족시키고, 궁극적으로 실제 실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화된 미적 경험의 체계적 도식이 제시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미학에게 생소한 것이기는 하지만, 미학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 몇몇 심화 연구가 요구된다. 도식에 포함된 요소들 가운데 특히 대상의 미적 속성을 정의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Human-Machine Interaction(HMI)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domain that includes techo-cultural topics from interactive art to robotics. Man's/machine's actions in HMI are defined as movements with circular causality like actions of organism. For human, different actions are ecological behaviors in oder to adapt to his/her Umwelt, and continuous accumulation of his/her actions can be called meaningful experience. These conditions of human actions is also pertinent to his/her interactions with machine.
    In the context contemporary empiricists insist that humans have life-enhanced emotions and an aesthetic experience in those interactive situations. But their arguments for technology without concrete evidences of mechanism are relatively ambiguous and complex for HMI experiments. Thus the research explains the circular caus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corresponded to interactivity of HMI and presents simplified systematic schema of that experience.
    The machinism based on F. Guattari's theory of Chaosmosis, cybernetics, and F. Varela's theory of Autopoiesis supports circular causal properties of mechanical movements and criticizes the modern theory of linear causal mechanism. The theoretical backgrounds hereby are prepared to apply the circular causality into aesthetic experience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On the other hand circular causal properties in constructive processes of aesthetic experience are found on Humean theory of taste with the birth of modern aesthetics. For Hume a symbol of fine taste, ‘a true critic’ is a man who is trained constructive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repeatedly and passes ‘the test of time’. And arguments of comtemporary aesthetic theories criticize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denying aesthetic emotion and values as the last vestiges of the modern. But the definition of aesthetic experience as epistemic construction by temporal movements undermines their criticisms. Thus aesthetic experience are defined as the meaningful constructions of repetitive temporal movements between cognitive-emotional elements.
    Furthermore the research explains more clearly the constructive schema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cognition-emotion-adaptation system of cognitive science and recent robotic systems. The explain meets the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to HMI, and finally the relatively simplified systematic schema of the experience for HMI experiments be presented.
    These theoretical topics for experimental issues may be unfamiliar to aesthetics but can contribute to its scientific diversity from a different angle. Of course it is needed to deepen the studies. Particularly the research can be complemented by defining ‘aesthetic properties of object’ in elements of the schematization in detail.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