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四未軒集』에 수록된 『性理雜儀』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Sunglijapeui Contained in Samihunji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9.12
29P 미리보기
『四未軒集』에 수록된 『性理雜儀』에 대한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6호 / 239 ~ 267페이지
    · 저자명 : 임종진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朝鮮 末期 嶺南 退溪學派의 대표적인 性理學者인 四未軒 張福樞의 文集 『四未軒集』에 실려 있는 『性理雜儀』라는 저술의 지위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과거의 어떤 인물의 학문과 사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그와 관련된 저술을 정확하게 확정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가 문제 삼는 것은, 현재 『사미헌집』에 수록되어 있는 이 『성리잡의』라는 문헌은 단지 『性理大全』의 일정 부분을 그대로 다시 옮겨 적은 것일 뿐이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연구자들은 아무런 의심 없이 『성리잡의』를 장복추의 저술로 이해하고 있으며, 또한 그 내용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연구자들의 논문에서도 되풀이 되고 있다. 이제 본 논문에서는 다각적인 분석과 논증을 통해서 『성리잡의』가 장복추에 의해 편찬된 저술이 아니라 그의 성리학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진 옮겨 적기[手抄作業]의 산물이라는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리잡의』를 현재처럼 『사미헌집』에 그대로 포함시키는 것은 오히려 장복추의 학문과 사상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main content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about the status of Sunglijapeui contained in Samihunjip written Samihun Chang Bokchu, a representative scholar of Neo-Confucianism of Youngnam School of Toegye in late Choson Dynasty. It is due to the fact tha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any person's studies and thought the prior thing to do is to establish correctly what his or her literary works are.
    The problem raised in this research is that the Sunglijapeui contained in Samihunjip is nothing but a duplication of some part of Sunglidaejeon. However, by far most researchers without doubt have taken Sunglijapeui as a literary work of Chang Bokchu, but also given positive evaluation to it. This kinds of evaluation are repeated even in the research articles of today. Thus, this research, following the analysis from various aspects, and with objective proof, concludes that Sunglijapeui was not written by Chang Bokche but a product made in his learning process of Neo-Confucianism, that is in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of famous literary works. Therefore, if we continue to contain Sunglijapeui in Samihunjip, it will be like to establish an obstacle that can be a barrier to proper understanding of the studies and thought of Chang Bokch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