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미적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 Costum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1.09
12P 미리보기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미적특성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7권 / 3호 / 399 ~ 410페이지
    · 저자명 : 양정원, 이미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경극과 일본의 가부키와 함께 한국의 가면극 복식에 초점을 맞추어 삼국의 전통공연복식의 외적 조형성과 복식에 내재된 가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공연복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서 우리공연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한·중·일 전통극의 발전과 특징을 살펴본 후, 양유미, 이미숙에 의해서 연구된 한·중·일 삼국 전통극 복식의 미적특성을 토대로 삼국 전통극의 복식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과 내재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조형성의 공통점은 카프탄의 비구축적인 형식, 중첩착장에 의한 부피감의 연출 등이다.
    둘째, 조형적 특성의 차이점은 가면극은 H형 뿐 만아니라 A형의 실루엣도 나타났던 반면에 경극과 가부키는 복식의 형태는 전반적으로 H형 실루엣이었다. 착용방식에서는 삼국 모두 겹쳐 입는 방식을 취하지만 가부키의 중첩착용은 표의류를 여러 벌 중복 착용하여 습색의 미를 연출한다는 점에서 가면극, 경극의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가면극 및 가부키 복식은 거의 대부분이 직령 우임으로 착장시 깃의 비대칭적 균형을 보이는데 반해 경극은 비대칭의 깃의 형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복색의 경우 가면극은 흑백의 대비배색, 소색(素色), 원색 사용이 많은 반면에 경극과 가부키 복색은 다양한 문양과 조우하여 다양한색 배색의 색채미가 돋보였다. 또한 가면극 복식이 무지(無地)가 지배적으로 사용되었던 반면에 경극, 가부키 복식은 옷의 전면에 다양한 문양이 표현되어 장식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조형적 특성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화장법에서 찾을 수 있다. 가면극은 가면이라는 도구표면에 분장을 한 반면에, 경극과 가부키는 얼굴 표면에 추상적인 형태의 도면화장을 하였다. 경극의 도면화장은 성격화장인 검보, 미화화장인 단 배역의 준반으로 구분되며, 가부키의 경우는 성격화장인 구마도리와 미화화장인 온나가타의 백색화장이 특징적이다.
    넷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내재적 특성의 공통점은 감춤의 미와 비움의 미가 삼국의 전통극 복식에서 보편적인 가치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내재적 특성의 차이점은 가면극의 벽사의 미와 경극·가부키의 상징의 미, 가면극의 해학적 관능미와 가부키의 은폐적 관능미, 경극의 위용적 과장미와 가부키의 숭고적 과장미, 가면극의 소박의 미와 경극·가부키의 장식의 미가 각각 대별된다. 한편 전통극에 나타난 독자적인 특성은 가면극의 해학의 미와 가부키의 습색의 미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국가와의 문화비교를 통하여 객관적 시각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자국문화의 정체성 제고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performing arts throug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external plasticity of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performing costumes and the immanent values focusing on the Korean mask drama along with Beijing Opera of China and Kabuki of Japan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cedented studies and the related books around the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s at first and then di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lastic characteristics and immanent properties represented on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play costumes based up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ose countries's traditional play costumes researched by Yang, You-mee and Lee, Mi-suk.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mmon grounds of the formativenes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 costumes are the unconstructive style of the kaftan and the creation of a sense of volume by overlapped wearing.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is whereas the mask dramas showed the H-line and the A-line silhouette, the costume styles of Beijing Opera and Kabuki were generally of H-line silhouette. The way of wearing is that all three countries took the means of wearing clothes in layers, but the overlapped wearing of Kabuki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cases of the Mask drama and Beijing Opera in terms of creating a beauty of ‘Seubsaek’ by overlapped wearing of several pieces of outer coats. Whereas most of the costumes of Mask drama and Kabuki were straight collars with the right gore to show asymmetrical balance of the collars when wearing, Beijing Opera prominently showed asymmetrical collars. In case of the colors of the costumes, while Mask drama used contrast colors of black and white, achromatized colors and primary colors, the costumes of Beijing Opera and Kabuki set off brilliancy of multi-colors and color scheme encountering various patterns. Whereas solid and plain fabrics were dominantly used for the costumes of Mask dance, a wide array of patterns were expressed on the front of the clothes of Beijing Opera and Kabuki to show strong decorative properties. Third, the greatest differentiation of the traditional play costumes of Korea, China and Japan can be found in the method of makeup. While they put on makeup on the surface of a tool, a mask, in the Mask dance, they put on abstractive makeup on the surface of a face in the Beijing Opera and Kabuki. The facial makeup of Beijing Opeara is classified into ‘Gumbo’, a character makeup and ‘Junban’, beautified makeup for a minor role, and in case of Kabuki, ‘Gumadori’ of a character makeup and ‘Onnagata’ of beautified makeup are the distinguishing features. Fourth, for the common ground of immanent nature of the traditional play costum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beauty of concealment and the beauty of void were shown as universal values in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play costumes. Fifth, the difference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immanent properties of the three nations'traditional play costume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e beauty of exorcism of Mask drama and the beauty of symbolism of Beijing Opera and Kabuki, humoristic voluptuous beauty of Mask drama and a cover-up voluptuous beauty of Kabuki, splendid beauty of exaggeration of Beijng Opera and the sublime beauty of exaggeration, the beauty of simplicity of Mask drama and the decorative beauty of Beijing Opera and Kabuki while the independent nature shown in the traditional plays can be the beauty of satire of Mask drama and the beauty of ‘Seubsaek’ of Kabuki.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rough the comparison of cultures of Eastern Asian countries and anticipate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ts ow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