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詞文學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The Forms of Progress an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Sa(詞) Literature of Late Koryeo Dynast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9
42P 미리보기
고려후기 詞文學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3호 / 371 ~ 412페이지
    · 저자명 : 하정승

    초록

    중국문학사에서 詞는 매우 독특한 장르라 할 수 있다. 단순한 문학으로서의 모습만이 아니라 음악적인 요소까지 가미되었기 때문이다. 사는 원래 노래를 위한 악곡의 가사로 출발했다. 하지만 후대로 갈수록 악곡과는 관계없는 사, 즉 순전히 독서를 위한사들이 많아졌다. 이는 한국문학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고려시대 송으로부터 사가 들어온 이후로 한국한시사에서 사는 원래의 목적인 악곡과는 큰 상관없이 창작되었다.
    그렇게 된 데에는 노래로서의 말과 시로서의 글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한국한문학 특유의 장벽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일찍부터 지어져 왔던 비슷한 장르인 한시가 활발히 창작되고 있었기에 시인들 입장에서는 악보와 평측, 음률 등이 부담이 되는 사의 창작에 열의를 쏟을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이같이 창작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고려조에 시작된 사의 창작은 조선 말기까지 꾸준히 그 명맥을 유지하였을 뿐만아니라, 시간이 갈수록 사의 작가와 작품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최초의 사는 고려 제 13대 왕인 宣宗이 지은 것으로, 그는 요나라의사신을 접대하는 향연에서 楊柳枝의 詞調에 따라 遼帝의 생일을 축하하는 「賀聖朝詞」 를 지었는데, 이것이 한국문학사에 등장하는 최초의 詞이다. 선종 이후로 고려 문단에서사의 창작은 갈수록 활발하게 이뤄졌는데, 예컨대 고려 문단에서 핵심으로 활동한 시인들인 金克己, 李奎報, 李齊賢, 李穀, 鄭誧, 金九容, 鄭道傳, 權近 등이 사를 남기고 있다.
    그 외 승려시인으로 유명한 慧諶 역시 사를 지었다. 이를 정리해 보면 현재 작품이 전해지는 고려시대 사의 작가는 10명이고, 작품 수는 110수이다. 이들이 사용한 사패는 30여 가지가 넘고, 그중 가장 즐겨 사용한 것은 ‘巫山一段雲’이며 그 외 望江南, 浣溪紗, 桂枝 香慢 등도 자주 사용되었다. 사의 내용을 보면 개인적인 감정을 읊은 서정적인 北宋詞 계열의 작품들이 대다수인데, 하지만 북송사의 가장 큰 특징인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花間風의 작품보다는 인생의 허무와 같은 애상조의 작품이 주를 이룬다.

    영어초록

    Sa(詞) is a very unique genr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Because it is rhythmical in spite that it belongs to prose genre. Sa(詞) originally starts from song lyrics. As time, however, went on, Sa詞 came to be read for reading itself regardless of singing.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Sa(詞) was introduced to Koryeo Dynasty from Song Dynasty. Since then, it had been created regardless of its own original purpose as a song. That's because there was a real barrier between real spoken language as lyrics and written language as poems.
    Besides, Korean Chinese poetry, a similar genre to Sa(詞) had been already being created actively. Although poets of the day needed not particularly be warming to creation of Sa(詞), it not only remained in existence until late Chosun Dynasty, but also the number of writer and literary works related to it rapidly increased.
    The first Sa(詞) remain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cy was written by King Sunjong. He wrote Hasungjosa(賀聖朝詞) celebrating the birthday of the emperor of Yao dynasty with it following Yangryuji(楊柳枝). After that, the creation of Sa(詞) became active. For instance, a number of poets such as Kimguki(金克己), Leekyubo(李奎報), Leejehyon(李齊賢), Leegok (李穀), Jungpo(鄭誧), Kimguyong(金九容), Jungdojeon(鄭道傳), Kwongun (權近) engaged themselves in writing Sa(詞). Hyesim(慧諶) known as monk and poet also wrote Sa(詞).
    The number of poets of Koryeo Dynasty who bequeathed works of Sa(詞) is 10 and 110 poems were leaved. They used 30 kinds of rhythms Sapae(詞 牌)-Manggangnam(望江), Wangyesa(浣溪紗), Gyejihyangman(桂枝香慢) as well as Musanildanun(巫山一段雲). Poems written by them consists of contents involving personal emotion, as is the case with the line of Buksongsa(北宋 詞). But unlike Buksongsa(北宋詞), poems about vanity of life are more predominant than ones about love affa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