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영오광대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의식 연구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Analyzing Dance Movement in Tongyeong Ogwangdae)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06
61P 미리보기
통영오광대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의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미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족미학 / 13권 / 1호 / 77 ~ 137페이지
    · 저자명 : 서지연

    초록

    본 논문은 중요무형문화재 제 6호 통영오광대의 춤사위에 관한 연구이며 통영오광대 춤사위 동작의 생성요인을 살펴보고 문둥탈 과장과 농창탈 과장을 중심으로 한 춤의 구조와 형식, 그리고 무진법을 토대로 통영오광대 춤의 특징과 미의식을 살펴봄으로써 통영오광대의 민족적 가치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통영오광대의 형성에는 1604년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된 이후 생긴 관청이 영향을 미쳤고 이미 어떠한 형태로든 지역에서 토착적인 탈놀이를 하고 있던 음악과 춤에 능하고 놀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다른 지역의 탈춤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통영오광대의 춤사위는 경상남도의 향토적인 민속춤인 덧배기춤을 기본으로 그 지역의 기질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맞물려 강한 민중적 비판의식과 풍자성을 지닌 탈춤이 형성될 수 있었으며 그로인해 통영오광대만의 미의식을 창출하였다.
    통영오광대의 춤사위는 배김사위와 함께 ‘매듭춤’으로 정리한 기본 춤사위와 너름새춤이 주가 된다. 매듭춤은 1박, 2박에 양팔을 120~150도 정도 벌리고 3박에 손목을 살짝 감아 4박에 한 팔을 가슴 앞으로 한 팔은 허리 뒤로 매듭을 짓는 춤으로 한국 춤의 전형적인 맺고 얼르고 푸는 형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내 몸 안에 있는 나쁜 기운을 쳐내어 물알로 내 보낸다’는 통영오광대의 정신을 가장 잘 나타내어주는 춤사위이다. 너름새춤은 오른발, 왼발, 오른발, 왼발을 박자마다 디디며 왼팔, 오른팔, 왼팔, 오른팔, 순서로 머리 쪽으로 살짝 접으며 우쭐거리는 춤으로 상체의 수평움직임보다 수직움직임을 강조한 춤사위이다. 이러한 춤사위는 동작에 일정한 제한을 두지 않고 장단에 맞추어 자유스럽게 온몸을 움직이며 배역의 특징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하여 정확한 박자에 맞추어 추지 않는 등 즉흥성이 강조된다. 특히 배김사위는 통영오광대의 모든 춤사위를 통틀어 가장 집중을 불러일으키는 장면으로 어느 지점에다 온몸을 힘차게 던져 정지하고 정신적 긴장을 가져오며, 그것을 적절하게 풀어가는 춤이다. 또한 배김새 가락에 맞춘 배김사위는 내고-달아-맺고-푸는 구조로, 춤을 출 때 나타나는 태극선의 선묘는 음적인 것이 커졌다가 그것은 언제고 소멸되고, 양적인 것으로 다시 와서 양적인 것이 다시 극대로 올라갔다 다시 사라지는 즉, 시작은 끝이요, 끝은 시작이라는 인간사의 자연스러운 순환관계를 암시한다. 통영오광대의 춤이 다른 지역의 탈춤에 비교하여 그 도약이 크지 않지만 배김새 가락에 맞추어 우뚝 멈추어 서서 장단을 먹어가며 고갯짓을 할 때 건무형태의 춤보다 더욱 큰 역동성이 드러나고 장단과 춤의 만남은 극치의 멋을 이룬다.
    통영오광대의 춤사위는 불필요한 기교가 들어가 있지 않고 투박하며 저절로 추임새가 나오도록 하는 신명을 불러일으키는데 이러한 인위적이지 않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바로 한국적 자연주의의 표출이다. 문둥탈 과장에서는 문둥이의 애환을 드러내고 농창탈 과장에서는 처첩관계의 한을 느낄 수 있다. 한이 맺혀 살이 끼이고, 응어리가 깊을수록 오히려 신명은 고조된다. 이는 한을 초월하여 흥으로 슬픔을 웃음으로, 뒤바뀌는 흥의 극치를 통해 지극히 인간적인 삶으로 환원되어 온다. 통영오광대에서는 사회의 구조 및 인간 심리적 모순과 갈등을 풍자와 해학으로 표현하며 모든 유형의 탈춤 가운데서도 양반을 가장 통렬하게 비판하는 말뚝이의 재담은 통영오광대의 양반에 대한 통렬한 비판의식을 극대화한다고 볼 수 있다.
    통영오광대의 미의식은 자연합일의 한국적 자연주의와 투박한 춤사위, 심리적 모순과 갈등을 해학과 풍자, 그리고 비장과 한으로 표출하고 그것을 살풀이와 신명으로 풀어내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 dance movement of Tongyeong(統營) Ogwangdae(五廣大:Five 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ional value in Tongyeong Ogwangdae by examining a factor of creation in dance movement of Tongyeong Ogwangdae and by inquiring into characteristic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Tongyeong Ogwangdae dance focusing on Mundung Mask Act and Nongchang Mask Act.
    The formation of Tongyeong Ogwangdae was influenced by a government office, which was created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Samdosuguntongjeyeong(三道水軍統制營) in 1604. People, who are skillful in music and dance and enjoy playing as those who had already performed indigenous mask play in region in one way or another form, are thought to have been likely formed by receiving influence from mask dance in other region. Dance movement in Tongyeong Ogwangdae meshed with temperament and social & cultural background in the region based on Deotbaegi dance, which is local folk dance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formed mask dance, which has strongly popular critical consciousness and satire. Due to i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peculiar to Tongyeong Ogwangdae was created.
    Dance movement in Tongyeong Ogwangdae comes to have the mainstream of basic dance movement, which was arranged as 'knot dance,' and Neoreumsae dance along with Baegim movement. Knot dance is the dance of making a knot with outstretching both arms by 120~150 degree in one beat and two beats, slightly winding wrist in 3 beats, and putting one arm in front of the chest and one arm behind waist in 4 beats. A form can be observed to be shown, which makes, coaxes and undoes a knot as typical Korean dance. It is the dance movement of showing the spirit of Tongyeong Ogwangdae the best as saying of 'letting it out as soft unripe grain by removing bad energy inside my body.' As Neoreumsae dance is the swaying dance with setting right foot, left foot, right foot, and left food every beat and with slightly folding it to the head in order of left arm, right arm, left arm and right arm, it is dance movement that emphasized vertical movement rather than horizontal movement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is dance movement is also varied delicate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a role with freely moving the whole body in line with rhythm without setting the certain limit to movement, thereby being emphasized improvisation such as not dancing in line with accurate beat. Especially, as the Baegim movement is the scene of stirring up the most concentration throughout all the dance movements of Tongyeong Ogwangdae, it is dance that stops by powerfully throwing the whole body to any spot, brings about mental tension, and proceeds with solving it properly. Also, the Baegim movement, which focused on Baegimsae melody, has the structure of making-hanging out-making a knot-undoing. The line drawing of Taegeukseon(太極扇), which is shown when dancing, suggests what the beginning is the end and what the end is the beginning, namely, the natural recursive relationship of human things in which what is negative gets bigger, disappears sometime, comes back as what is positive, and again goes up to the maximum and vanishes again. Dance in Tongyeong Ogwangdae is not big in its jump compared to mask dance in other region, but is revealed the bigger dynamics than dance in Geonmu(健舞) when nodding with having beat, stopping to stand loftily in line with Baegimsae melody, and is formed a style of the culmination by a meeting between beat and dance.
    The dance movements of Tongyeong Ogwangdae is rustic without being contained unnecessary techniques and arouses enthusiasm with naturally causing Chuimsae. This unartificial and naive beauty is just the expression of Korean-style naturalism. A leper's joys and sorrows are revealed in the exaggeration of Mundungtal mask. A lamentation of wife-and-concubine relationship can be felt in the exaggeration of Nongchangtal mask. Enthusiasm is rather highlighted in the deeper grudge with having ill omen by being lamented. This comes to be returned to extremely human life through the height of excitement of being changed into enthusiasm beyond grudge and into smile from sadness. Tongyeong Ogwangdae expresses social structure, and humanly psychological inconsistency and conflict with satire and humor. Even among all types of mask dances, Malttugi's witty remark, which criticizes aristocrat most sharply, can be considered to maximize sharp critical consciousness on aristocrat in Tongyeong Ogwangdae.
    The aesthetic sense of Tongyeong Ogwangdae can be found in Korean-style naturalism of being united with nature, in clumsy dance movement, in expression of psychological contradiction and conflict with humor & satire and resolution & grudge, and in solving it with Salpuri and cheerful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