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중기 영남지방 한글편지의 서예미 고찰 (A Study of the Calligraphic Beauty of Hangeul-written Letters of Yeongnam Province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12
44P 미리보기
조선 중기 영남지방 한글편지의 서예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61호 / 153 ~ 196페이지
    · 저자명 : 박정숙

    초록

    이 논문은 조선중기 영남지방 출신의 사대부인 남성 4인의 한글편지와 사대부가의 여성4인 등의 한글편지 글씨에 나타나는 서예미를 분석 고찰한 글이다.
    조선시대 중기 1500~1600년대에 영남지방 출신의 사대부인 김성일(1538~1593), 곽주(1569~1617), 정경세(1563~1633), 이동표(1644~1700) 등 남성 4인의 한글편지와 비교편지로 전라도 나주 출신의 임영(1649~1696)과 충청도 회덕 출신의 송시열(1607~1689)의 한글편지를 분석하여 비교 하였으며, 남성과 같은 시기의 영남지방 출신의 사대부가 부인인 이응태부인(1500년대-생몰), 정부인인 장계향(1598~ 1680), 곽주의 딸 현풍곽씨(1500년대 -생몰 ?), 정경세 부인인 진성이씨(1566~ 1635) 등 여성 4인의 한글편지와 비교편지로 한양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1618~ 1674)의 한글편지와 청주 신천강씨(?~1585)의 한글편지를 분석 비교 하였다.
    이들 한글편지의 서예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애와 서지書誌 및 서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장법章法, 결구법結構法, 용필법用筆法적인 특징을 분석하여 시기별, 지역별, 남녀별, 한문-한글 문자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서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 4개, 12인의 한글편지 분석 비교도 10개, 한문편지 비교도 1개 등을 제시하였다.
    총 정리하여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선 중기 영남지방은 16,17세기의 한글편지가 가장 많이 남아있는 지역으로 한글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다. 지리적 여건으로 인하여 서울 경기의 세련된 서체(궁체)가 영남지방에서는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남성이나 여성 모두 개성있는 독특한 서체로 발전되었다.
    2. 영남지방에 한글편지 유품과 출토유물이 많이 남아 있는 이유는 학문의 발달과 기록문화의 보급이 컸으며, 추원보본追遠報本이라는 유교정신의 바탕이 깊게 깔려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영남지방과 타지역인의 글씨를 비교하면 남성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으나, 여성의 경우는 서풍의 흐름은 차이가 없으나, 한양과 영남지방의 지역적인 차이가 나며 궁체 필의는 한양에서 더 많이 보인다.
    4. 조선 중기 초기에는 단절형 흘림으로 초기 판본의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조선중기 말에 와서는 18~19세기에 유려한 궁체가 나타나기 직전의 궁체 필의가 조금씩 드러나 보이고 있다.
    5. 조선 중기 영남지방의 한문필의로 쓰여진 남성들의 편지서체는 개성있는 독특한 서체로서, 현대에 이르러 임모 서체로 활용하면 한글의 다양한 서체 창작 발전에 기여할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thesis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of calligraphic beauty of Hangeul letters written by four gentlemen and four women in Yeongnam province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These four men of Kim Seong Il (1538~1593), Gwak Ju (1569~ 1617), Jeong Kyoung Se (1563~1633) and Lee Dong Pyo (1644~1700) during that period of 1500~1600 are compared with Lim Young (1649~ 1696) who was from Naju, Chola province and Song Shi Yeol (1607~ 1689) who was from Hoedeok, Chungcheong province for their Hangeul letters. And the women are Lee Eung Tae’s wife (the 1500s-birth and death date unconfirmed), a high class official’s wife Jang Gye Hyang (1598~1680), Gwak Ju’s daughter Ms. Gwak (the 1500s -birth and death date unconfirmed) and Jeong Kyoung Se’s wife from Lee’s family of Jinseong (1566~1635), and their Hangeul letters are compared with those of Queen Inseon (1618~1674) of King Hyojong and Mrs. Gang in Cheongju from Gang’s family of Shincheon (?~1585).
    To analyze calligraphic features of these Hangeul letters, I looked into their life, bibliography and fonts. In detail, I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sentence structure rule, formation rule and brush moving rule, so that I coul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etters by their living time, region, gender and characteristics of Hangeul and Chinese letter written by them.
    Four graphs, ten comparison studies of Hangeul letters written by twelve men and one Chinese-written letter are also used in this paper for easy understanding.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below; 1. Yeongnam province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has the largest number of Hangeul-written letters of 16~17th century as many as this area is called the treasure house of Hangeul, and these are little influenced by the refined font Gungche u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have distinct individuality in both men and women as well.
    2. Such large number of Hangeul-written letters and related relics can remain in Yeongnam province due to the advanced development of study and record culture in this region and also thanks to the Confucian spirit of ChuWonBoBon (追遠報本, commemorate the virtue of ancestors and repay to them with all-time memory of your root) that has been grounded deeply in this province.
    3. When comparing the letters between Yeongnam and other regions, there is little differences in man’s Hangeul but the woman’s Hangeul from Yeongnam and from the capital Hanyang (Seoul) show bigger differences than that in man’s letters.
    4. Fragmented cursive style was preserved in the early years and Gungche style slowly started to appear before the 18th century.
    5. The font of Chinese-written letters of men in Yeongnam province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h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f it is used as the handwriting of Immo style, it may contribute to creation of various kinds of new Hangeul fonts in Hangeul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