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적 경험의 본성과 그 실천적 함의 (The Intrinsic Nature of Aesthetic Experience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06
29P 미리보기
미적 경험의 본성과 그 실천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33호 / 281 ~ 309페이지
    · 저자명 : 최준호

    초록

    오늘날 다른 어떤 개념보다도 미적 경험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기가 어려운 듯이 보인다. 미적 경험의 본성에 관한 논의들은 그 수렴점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예술작품의 예술적 특성에 대한 반응으로 간주한다. 이를 통해서 그들은 그 경험에 대한 명료한 설명에 이르고자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예술작품에 대한 인지적 과정으로 간주한다. 심지어 또 다른 어떤 사람들은 그 경험을 감각적 경험의 신비적 측면으로 간주하려고하기도 한다.
    다양한 논의 자체가 문제일 수는 없다. 그렇지만 명석한 논리적 언어에 기초하여 미적 경험을 명료하게 정당화하고자 하는 시도는 우려할 만하다. 왜냐하면 그럴 경우 그 경험에 담긴 중요한 철학적 의미가 사라져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서 그렇게 될 경우 우리는 인간을 이해하는 의미심장한 요소들 중 하나를 잃어버린 채 살게 된다. 18세기 미학의 성과(특히 헤르더 미학의 성과)에 따르면, 미적 경험은 ‘논리적·추론적 인식능력’이나 ‘윤리적·실천적 주체’의 활동이 아니라 ‘힘들의 자유로운 놀이’이다. 그러한 놀이로서의 그 경험은 일반적 의미의 비판(좋음/나쁨의 이분화)에 담겨져 있는 한계, 즉 규범적 차별화를 넘어서게 해준다. 더 나아가 그것은 ‘새로운 규범적 활동’이 활력 있게 전개될 수 있는 전제가 된다. 요컨대 이러한 성과를 간과한 채 미적 경험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그러한 시도는 미적 경험은 물론이고 인간을 편협하게 이해하는 데로 나가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It seems to be more difficult to define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than to do the other ones. Some people regard it as a response to the artistic features of artworks and accordingly suggest us to reach to an entirely clear explanation of it. Other people see it as a cognitive procedure of artworks.
    If we try to justify aesthetic experience clearly, based upon a distinct explanation, then we cannot but draw out one of the philosophical meanings implied in it and then throw out the rest into a dustbin and consequently lose a significant element of it through which we can unusually view the world and human beings. As Herder explains it, aesthetic experience is not an activity of cognitive ability or of ethical subject, but a free play of preconscious obscure powers. The experience as such a play permits us to pass over the normative discrimination concealed in any critique. Furthermore, it should become the condition upon which we perform a new normative act. In conclusion, entirely overlooking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18-th century aesthetics,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aesthetic experience should lead to a narrow-minded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s well as aesthetic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