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미메시스와 예술 (Mimesis und Künste bei Aristotel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06
48P 미리보기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미메시스와 예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74호 / 1 ~ 48페이지
    · 저자명 : 권혁성

    초록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예술 전반의 본질로 이해되는 ‘미메시스’의 본성과 구조를 탐구한다. 『시학』에 따르면, 미메시스는 예술가가 삶에 대한 지성적 이해를 토대로 착상하는 어떤 성격에 따른 가능한 인간 행위를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감상자에게 그의 지성에 따라 이해될 수 있도록 감각적 매체로 재현/표현하는 작업이다. 그런데 이러한 미메시스에서 감각적 매체로 이루어진 미메시스 소산은 어떻게 성격과 같은 지성적으로 인식되어야 할 비감각적 요소로 가득 찬 인간 행위의 재현/표현일 수 있는가? 이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답변은 『시학』 외부의 그의 몇몇 텍스트들이 함께 고려될 때 헤아려질 수 있다. 그것에 따르면, 각 예술의 미메시스는 그 소산과 대상 사이의 영상 관계의 존립 여부에 따라 다음의 두 부류로 구분된다. 음악과 무용의 미메시스는 그 소산과 대상 사이의 영상 관계 없이 그 소산에 수반되는 비감각적 요소가 대상의 비감각적 국면을 형상적으로 상응하게 재현/표현하는 데에 존립하는 반면, 시와 조형예술의 미메시스는 그 소산과 대상 사이의 영상 관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적 대상 연관 속에서 그 소산이 대상의 감각적이고 비감각적인 국면 양자를 형상적으로 상응하게 재현/표현하는 데에 존립한다. 이 후자의 예술들이 그의 예술론에서 주요한 비중을 갖기에 “영상 제작” 개념은 그의 미메시스 이해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반면, 그 개념이 전자의 예술들에 적용되지 않기에 그에게서 예술 전반의 미메시스 구조에 공통적 본성으로 간주되는 것은 대상에 대한 형상적 상응성이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Natur und Struktur der Mimesis, wie sie bei Aristoteles als das Wesen der Künste überhaupt gilt. Der Poetik zufolge besteht die Mimesis darin, eine gemäß einem bestimmten Charakter mögliche Handlung, die ein Künstler ausgehend von seiner intellektuellen Basiserkenntnis des Lebens ersinnt, zum Gegenstand zu nehmen und sie durch ihre Verkörperung im wahrnehmbaren Medium so darzustellen bzw. auszudrücken, dass sie vom Rezipienten intellektuell erkannt wird. Wie ist es nun dabei möglich, dass das aus dem wahrnehmbaren Medium bestehende Mimesisprodukt die Handlung darstellt bzw. ausdrückt, welche eigentlich mit dem intellektuell zu erkennenden, nichtwahrnehmbaren Sinngehalt, wie nämlich dem Charakter, gefüllt ist? Aristoteles’ Antwort hierauf läßt sich unter Einbeziehung anderer Texte aus seinem Corpus finden. Ihr zufolge ist die Mimesis, je nachdem ob es ein Bildverhältnis zwischen ihrem Produkt und ihrem Gegenstand gibt, in zwei Gruppen einzuteilen. Bei der Musik und dem Tanz besteht sie darin, dass, ohne Bildverhältnis zwischen ihrem Produkt und ihrem Gegenstand, ein im Produkt enthaltenes nichtwahrnembares Element den nichtwahrnehmbaren Aspekt des Gegenstandes in formaler Entsprechung darstellt bzw. ausdrückt. Indes besteht sie aber bei der Dichtung sowie den bildenden Künsten darin, dass, in ihrem auf einem Bildverhältnis zwischen ihrem Produkt und ihrem Gegenstand beruhenden zweifachen Gegenstandbezug, das Produkt sowohl den wahrnehmbaren, als auch den nichtwahrnehmbaren Aspekt des Gegenstandes in formaler Entsprechung darstellt bzw. ausdrückt. Da diese letzteren Künste das Hauptgewicht in Aristoteles’ Kunsttheorie haben, spielt der Begriff “Bildherstellung” die zentrale Rolle in seiner Mimesisauffassung. Da dieser Begriff aber nicht auf jene Künste angewendet ist, gilt bei ihm als die gemeinsame strukturelle Natur der Mimesis überhaupt deren formale Entsprechung zum Gegenst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