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성지역 마고할미 설화의 유형과 전승 의미 -마고할미의 역동성과 우발성을 중심으로- (Types and Transmission Meanings of “Mago halmi” tales in the Hwaseong Region - Focusing on the dynamism and contingency of Mago Halmi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4
35P 미리보기
화성지역 마고할미 설화의 유형과 전승 의미 -마고할미의 역동성과 우발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24호 / 39 ~ 73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은

    초록

    본 연구는 화성지역에 현재까지 생명력을 가지며 전승되는 마고할미 설화 채록 자료와 화성군의 지역자료집에 수록되어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자료를 찾아, 20여 편 자료의 유형과 변이를 밝히고, 전설로 지역의 지표성을 가지고 전승되는 의미를 논했다. 화성의 쌍봉산, 보금산, 남산, 형도, 오리섬, 쉬섬, 가랭이섬 등은 마고할미의 우발적 행위로 형성된 지형물로 그 내력이 전승되고 있음을 볼 수있었다.
    쌀자루를 지고 가던 마고할미가 쉬어서 만들어진 쌍봉산, 보금산과 형도의 마고할미가 쉬어간 쉬섬, 남산 마고할미와 힘내기로 던져진 바위 전설의 특징에서생성되는 대립자질을 의미화해 보면, ‘움직임 : 쉼(멈춤)’, ‘이동 : 정지’, ‘목적 : 우연’, ‘의도성 : 우발성’, ‘고정 : 변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마고할미로 생성된 자연물의 대립자질은 자연에 대한 관념을 돌아보게 한다. 창조신격에게 인간이 바라는것은 인간에게 이로운 방향의 목적이 있고 의도적인 지형형성일 수 있지만, 마고할미를 통해 형성된 자연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발성과 역동성그 자체로 존재한다.
    ‘힘겨루기’ 화소로 형성된 형도의 탑과 조암리의 바위 전설은 마고할미로 생긴지형물들이 왜 사라지고 있는가가 제보자들의 첨언으로 함께 전승된다. 이를 통해태곳적 자연을 생성하는 마고할미의 행위와 현대에 자연을 지우는 인간의 행위가대립되어, ‘우발적으로 생긴 자연 : 인간을 위한 자연’에 대한 의미가 생성됨을 볼 수 있다. 마고설화로 생성된 대립자질은 현대에 자연을 대하는 인간 중심의 태도를의심하게 하는 포스트휴먼의 담론을 생성하는 데 기여하고, 훼손된 자연과 인간의관계를 치유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논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inds the data that records the folktales of Mago Halmi that have been handed down with vitality in Hwaseong region to this day and folktales handed down in various ways in Hwaseong-gun’s local data collections that have not been known until now, and about 20 pieces of data were used to reveal its types and variations, and to discuss the meaning of its transmission with indexicality of the region as legends. There were folktales of Mago Halmi in Ssanbongsan Mountain, Bogeumsan Mountain, Namsan Mountain, Hyeongdo Island, Oriseom Island, and Shuseom Island in Hwaseong, and the story about the terrain formed by the accidental actions of Mago Halmi is being handed down.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meaning of opposition features created in legends such as Ssangbongsan Mountain, which was created while the Mago Halmi was taking a break when she was carrying sack of rice, Shuseom Island where the Mago Halmi of Bogeumsan Mountain and Hyeongdo Island took a break, and the rock thrown with strength competition with Mago Halmi of Namsan Mountain. These opposition features can be expressed as ‘moving: resting (stop)’, ‘movement: stop’, ‘purpose: chance’, ‘intentionality:contingency’, and ‘fixation: transformation’. The opposition features of natural objects created by the Mago Halmi makes us look back on our notions of nature. What humans want from the Creator God is the purposeful and intentional formation of topography in a direction beneficial to humans, but the nature formed through the Mago Halmi does not exist for humans, but exists as contingency and dynamism itself.
    The legend of Hyeongdo Island’s tower and Joam-ri’s rock, which were formed by the motif of strength competition, explains why the topography created by the Mago Halmi are disappearing. Through this, the Mago Halmi’s action of creating the ancient nature and the action of modern humans which is erasing nature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nature for humans: nature made accidentally’ is created. These opposite features appearing in folktale Mago contribute to create a discourse of post-human that raises doubts about the human-centered attitude toward nature in modern times, and play a role in healing the damaged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