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귀신사 <대적광전大寂光殿> <명부전冥府殿> 편액의 역사고증과 서체조형 연구 - 조선시대 편액의 전형미(典型美)와 개성미(個性美)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the Plaques at Daejeokgwangjeon Hall and Myeongbujeon Hall of Gwisinsa Temple and an Examination of Their Calligraphic Styles: A Comparison ofConventionalBeauty and I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07
34P 미리보기
귀신사 &lt;대적광전大寂光殿&gt; &lt;명부전冥府殿&gt; 편액의 역사고증과 서체조형 연구 - 조선시대 편액의 전형미(典型美)와 개성미(個性美)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7호 / 131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동국

    초록

    조선시대 편액(扁額)글씨는 필자와 시기, 장소나 건물의 성격에 따라다르지만 왕궁 사찰 서원 등의 중심 건물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가독성과 예술성 측면에서 볼 때 편액 글씨는 보통건물과의 조화를 전제로 하여 획(劃)이 굵고 크면서도 빈틈이 거의없는 엄정(嚴正)한 해서(楷書)의 서체로 구사된다. 이러한 경우는 유가(儒家) 사회의 주류 건축공간인 궁중이나 서원은 물론 불가(佛家)의사찰 건축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귀신사의 <대적광전大寂光殿><명부전冥府殿>의 서체조형 특질은 두작품 모두 대자해서(大字楷書)로 대체적으로 필획에서 뚜렷한 마제(馬蹄) 잠두(蠶頭)와 향세(向勢) 배세(背勢), 태세(太細)대비가 강조되고있고, 결구에서는 소소(疎疎) 밀밀(密密)한 구조가 특징이다. 다만<대적광전大寂光殿>의 서체조형이나 미학에 비하면 <명부전冥府殿>은 비교적 자유롭고, 휘호한 사람의 개성인 필획과 글자구조로 인간적인 맛까지 느껴진다. 미학적으로도 사찰의 주 건축물인 대적광전(大寂光殿)의 전형미와 부속공간인 명부전(冥府殿)의 개성미는 건축물의 용도 기능과 정체성에도 부합하고 있다. 편액의 제작 시기 또한 실제 귀신사의 <대적광전大寂光殿><명부전冥府殿>의 중창 시기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귀신사(歸信寺)가 임진 병자 양란으로 폐사된 후 1633년(인조11)에 중창될 당시나 자수(子秀) 무경(無竟)의 <전주모악산귀신사사적사인全州母岳山歸信寺事蹟 詞引>의 기록 그대로 1657년(효종 8년)에 대웅전(大雄殿)을 중수한 17 세기 중반의 서풍이다. 이러한 사례는 임진 병자 양란이후 조선시대 사찰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중창불사의 양상인바 귀신사 <대적광전大寂光殿>과 같은 서체(書體) 서풍(書風) 글씨가 구례 화엄사의의창군(義昌君) 이광(李珖)이 쓴 <대웅전大雄殿>(1636)과 <지리산화엄사智異山華嚴寺>(1636)라는 사실에서 확증을 더하고 있다. 귀신사의 <대적광전大寂光殿><명부전冥府殿>편액의 시대서풍도 조선시대 궁중이나 서원의 편액과 같은 맥락에서 확인 된다. 특히 조선 중후기 편액 글씨의 전형으로 자리 잡은 석봉 한호의 <대자천자문大字千字文>글씨 서풍과 같다. 이것은 14세기말 공민왕의 <영호루映湖樓>, 15세기 초반 양령대군의 <숭례문崇禮門>, 16세기 중반 <모악산금산사母岳山金山寺>(1556), 16세기 중후반 석봉 한호의 <구인당求仁堂>, 17세기 초중반 조일회의 <돈의문敦義門>, 이광의 <대웅전大雄殿>과 <지리산화엄사智異山華嚴寺>(1636), 18세기 중엽 이광사의대흥사<대웅전大雄殿>, 19세기 중엽 김정희의 은해사<대웅전大雄 殿>, 임태영의 <광화문光化門>의 글씨를 종횡으로 비교해본 결과 더 명확하게 객관적으로 밝혀졌다. 그런 만큼 귀신사 <대적광전大寂光 殿><명부전冥府殿> 글씨는 17세기 중엽, 조선 중후기 편액 글씨의전형미(典型美) 개성미(個性美)의 척도가 된다.

    영어초록

    Calligraphy on plaques from the Joseon Dynasty differs according to its writer, production date, associated building, and site. However, examples from plaques hung at palaces, temples, and seowon (local private academies) do sharecertain characteristics in common. Commonly, for legibility and artistic value, calligraphy on plaques iswritten or carved in rigid regular script using large, thick, dense strokes in harmony with the architecturewhere the plaques are to be hung. Not only palaces and seowon, the primary architectural spaces of Confucian Joseon society, but also Buddhist temple buildings were ornamentedwith plaques bearingsuch calligraphy.
    The plaques at Daejeokgwangjeon Hall and Myeongbujeon Hall inGwisinsa Temple containcalligraphy in large regular script. Their calligraphic strokes generally demonstrate distinct horse’s hoof-shaped beginnings and silkworm head-shaped ends. They also emphasize two vertical strokes facing each other and swollen either to the out- or inside.
    Moreover, a contrast between plump and slender strokes is highlighted.
    These strokes are sometimes coarsely or finely structured. Compared to the calligraphy of the “Daejeokgwangjeon Hall” plaque, however, the calligraphy of the “Myeongbujeon Hall” plaque is relatively unconstrained and presents strokes and structures which are distinctive to the point of appearingpassionate. Aesthetically, the conventionalbeauty of thecalligraphy of “Daejeokgwangjeon Hall” and the individual beauty of thecalligraphy of “Myeongbujeon Hall” correspond to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these two major buildings at Gwisinsa Temple.
    Moreover, the production dates of the plaques atDaejeokgwangjeon Hall and Myeongbujeon Hall inGwisinsa Temple align with the date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s. The calligraphy on these plaques wasproduced either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wisinsa Temple, which was ruinedfollowing both the Japanese and Manchu invasions of Joseon in 1633 (the eleventh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or during the repair of Daeungjeon Hall in 1657 (the eighthyear of the reign of King Hyojong), as recorded in Remarks on the History of Gwisinsa Temple onMoaksan Mountain in Jeonju (全州母岳山歸信寺事蹟詞引) by Monk JasuMugyeong, thusreflecting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mid-seventeenth century. Their production was part of areconstruction project undertaken at Joseontemples nationwide after the Japanese and Manchu invasions. The mid-seventeenth-century calligraphic style reflected in the Gwisinsa plaques is also validated by the fact that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Daejeokgwangjeon Hall” plaque resembles the stylesof the“Daeungjeon Hall”plaque atHwaeonsa Temple in Guryeand the plaque reading “Hwaeonsa Temple onJirisan Mountain,”both of which were written in 1636by Yi Gwang, also known as Prince Uichanggun.
    The calligraphic styles in the plaques of Daejeokgwangjeon Hall and Myeongbujeon Hall at Gwisinsa Temple bear similarities to those in the plaques of Joseon palaces and seowon. In particular, they recall the style seen in the plaque of “Large One Thousand Characters” by Han Ho (sobriquet: Seokbong), which was considered a definitive exampleof plaque calligraphy in the mid- and late Joseon period.Thisresemblance to the plaques of Joseon palaces and seowon can be further demonstratedby an analysis of vertical and horizontal strokes and a comparison with other plaques. These include the plaques of“Yeonghoru Pavilion” by King Gongmin in the late fourteen century; “Sungnyemun Gate” by Prince Yangnyeong in the early fifteenth century; “Geumsansa Temple onMoaksan Mountain” in the mid-sixteenth century; “Guindang Hall” by Han Ho in the mid- and late sixteenth century; “Donuimun Gate” by Jo Il-hoe in the mid- and late seventeenth century; “Daeungjeon Hall” and “Hwaeonsa Temple onJirisan Mountain” by Yi Gwang in 1636; “Daeungjeon Hall” by Yi Gwang-sa at Daeheungsa Temple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Daeungjeon Hall” by Kim Jeong-hui at Eunhaesa Temple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and “Gwanghwamun Gate” by Yim Tae-yeong. Thus, the calligraphyon the “Daejeokgwangjeon Hall” and “Myeongbujeon Hall” plaques at Gwisinsa Temple serve as a criterion for defining conventionalor individual beauty in plaque calligraphy duringthe mid-seventeen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