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증제대혈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of Donated Umbilical Cord Blo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03
6P 미리보기
기증제대혈의 미생물 오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임상미생물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 16권 / 1호 / 39 ~ 44페이지
    · 저자명 : 박정수, 장주영, 윤종현, 신수, 노은연, 김의종

    초록

    배경: 제대혈에서 유래한 동종세포치료제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미생물 오염에 대한 검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의 기증제대혈은행에서 제대혈의 오염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또한냉동 저장이 제대혈에 오염된 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제대혈은 제대혈은행의 표준업무지침에 따라 채취, 운반, 처리 및 저장되었다. 미생물 배양 및 동정 검사는 저장전 제대혈 혈장 5-10 mL를 BacT/ALERT 혈액배양병(bioMérieux, France)에 분주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냉동저장되어 있던 오염 제대혈 중 무작위로 40개를 선택해서 해동하고 2.5 mL를 취하여 상기와 같이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21,236단위 중에서 677단위(3.19%)가 배양 양성이었다. Lactobacillus spp. (17.2%)가 가장 많이 배양되었고, Bacteroides spp. (10.1%),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6.4%)순으로 많이 배양되었으며, 이외 그람양성 간균이 21.4% 에서 배양되었다. 오염률은 제왕절개에서보다 질식분만에서 높았으며(4.1% vs. 0.7% , P<0.001), 채취 기관별로도 차이가 있었다(0.7-25.4%, P<0.001). 오염 제대혈의 해동 후 배양에서는 55%에서만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규모로 제대혈의 오염률을 살펴보았다. 이는 제대혈 채취기관의 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냉동 저장 후에 오염 제대혈의 미생물 배양률이 낮아진 것은 추가 연구를 통해 오염 미생물 양의감소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Testing for possible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 umbilical cord blood (UCB) is essential for validating the product safety of allogeneic cellular therapeutics. We analyzed the level of contamination and related factors at the largest public cord blood bank in Korea. In addition, we also studied the influence of cryopreservation on contaminating microorganisms.
    Methods: UCB was collected, transported, processed, and stored according to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Microbi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BacT/ALERT; bioMérieux, France) with an inoculum of 5-10 mL plasma for pre-freezing UCB. Forty randomly selected non-conforming units were thawed and studied for microbiologic recovery with an inoculum of 2.5 mL.
    Results: Among a total of 21,236 UCB, 677 (3.19%) were positive for cultu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organism was Lactobacillus spp. (17.2%), followed by Bacteroides spp. (10.1%),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6.4%), except the unidentified grampositive bacillus (21.4%). The contamination rate was higher in vaginal delivery specimens than in cesarean section specimens (4.1% vs. 0.7%, P<0.001), and differed by collection center (0.7-25.4%, P<0.001). Only 55% after-thaw cultures of non-conforming units were positive.
    Conclusion: We determined the contamination rate of UCB in Korea in a large sample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at collection centers for quality control purposes. The low recovery rate of microorganisms after cryopreservation presents a possible way to rescue some non-conforming cord blood units,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 reduction of microbiological bu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