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참여미술 속 풍자와 은유 - 2005년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Satire and Metaphor in Ai Weiwei’s Participatory Art: Focusing on His Works after 2005)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2
33P 미리보기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참여미술 속 풍자와 은유 - 2005년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1권 / 148 ~ 180페이지
    · 저자명 : 정창미

    초록

    중국의 현대미술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는 개인의 자유와 인권침해 문제를 다룬 사회운동에 동참하고 이를 작품으로 가시화했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사건을 재현해 내는 것만이 아닌 작가 특유의 풍자와 은유를 담아내고 있어 대중이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
    본 연구는 2005년 이후부터 아이웨이웨이가 블로그를 활용하여 본격적으로대중과의 협업을 시도한 작품 <동화>에서부터 작가 자신이 점차 적극적으로현 사회문제에 참여하며 표현한 작품세계의 형성과 특징, 그리고 대중과 공유하는 형식을 살펴봄으로써 중국현대미술의 새로운 기초자료를 형성하고자한다.
    유년시절부터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하방된 아버지 아이칭(艾靑)을 따라 신장(新疆)에서 생활하며 자유와 인권이 박탈된 삶을 살았던 아이웨이웨이에게 있어 인권 문제는 그의 작품 속에 끊임없이 대두되는 주제였다. 2007년독일의 카셀도쿠멘타에서 선보인 <동화>는 블로그를 통해 모집한 1001명의중국인들과 함께 한 작업으로 참여미술의 핵심요소인 대중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이루어진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줄곧 스스로주창해 온 “생활의 예술화, 예술의 생활화”를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은이후 그가 중국의 현실문제에 대해 언급한 작품들을 제작함에 있어 새로운전개 방법을 구사할 수 있게 해 주었다.
    2008년 5.12 쓰추안 대지진사건이후 아이웨이웨이의 사회문제를 다룬 작품은 보다 직접적이고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작품의 제목, 소재, 제작방법 등에 사건을 암시하는 다양한 은유적 표현과 풍자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행위미술, 설치미술, 사진, 영상 등 다매체를 통해 선보이고 있는 그의 참여미술은 사회문제를 다룬 현실참여 미술의 성격이 강화되었고 이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달되며 강한 파급력을 형성했다. 그가 활발하게 인터넷 매체를 활용하고 있는 것은 작품의 제목과 퍼포먼스 등에 사용된 ‘차오니마(草泥馬)’에서도 찾아볼 수있다. 2009년 중국 정부의 과도한 인터넷 검열에 대한 네티즌들의 저항에서시작된 용어인 ‘차오니마’는 동음이의어적 표현으로 사회문제를 풍자하는데사용되고 있다. 2011년 4월 아이웨이웨이는 중국 정부에 의해 81일간 구속 수감되었으며 이후 2015년 7월 자신의 여권을 돌려받기 전까지 중국내 가택연금과 출국금지 상태에 놓였었다. 이 시기 전 세계의 미술 관계자들뿐만 아니186 라 인권존중을 지지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아이웨이웨이를 지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그 또한 자신이 경험한 상황을 풍자화한 작품을 지속적으로 전세계에서 전시했다.
    아이웨이웨이의 과감한 현실참여 미술은 종종 그를 사회운동가로 볼 것인가 예술가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한다. 예술과 정치, 예술과 사회에 대한 문제는 동서고금을 통해 오랫동안 논의된 주제로 근대사회이후 보다 대중적으로 가시화되었다. 아이웨이웨이의 작품은 대중과 함께 체험하고공감하는 영역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그의 참여미술에 대한평가 또한 대중 즉 관람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2011년 그의 구금 사건때 보여준 전 세계의 반응을 고려해 본다면 그의 작품은 예술과 사회가 분리될 수 없는 공생의 위치에 있으며 작가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hinese contemporary artist Ai Weiwei participated in the social movement on the issues of individual freedom and human rights violation, and visualized it through his artworks. His works lie beyond simple representation of incidents; they embody the artist’s unique satire and metaphor, helping the public to be more aware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basic research material of Chinese contemporary art, through examining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s art world, and the style in which his works share with the publ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range from <Fairytale> – Ai has tried to collaborate with the public through his blog since 2005 – to the works which was created while Ai Weiwei actively involved in the current social issues.
    In his childhood, Ai lived at Xinjiang with his father, Ai Qing, who was exiled to Xinjiang because of political interests, under the deprivation of freedom and human rights. To Ai Weiwei, the human rights issue is the subject unwittingly raised in his works . <Fairytale>, which was exhibited at Kassel Documenta 2007 in Germany, was the collaboration work with 1,001 Chinese people who were invited through his blog; the large-scale project was made possible by the public’s voluntary participation – the key element * Myoungji University 188 of participatory art. Through that work, the artist not only realized his own long-advocating motto of “art-in-life, life-in-art”, but also became to have a command of new development in creating his later artworks where he talks about practical issues of China.
    After the accident of Sichuan earthquake in May 12, 2008, Ai’s works on social issues developed more direct and active, having various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satirical elements implying the incident in the titles, materials and types of works. His participatory art, presented through a wide range of media including performance, installation, photography and video, has turned itself more socially-engaged in speaking about social issues. With those achievements, his works were delivered all over the world beyond China, creating a far-reaching power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His active use of the Internet media can also be found in the word ‘Caonima’, which was used in his works and performances. The term ‘Caonima’, which began to be used in 2009 by Chinese netizens who resisted Chinese government’s excessive censorship on the Internet, is now being used for satirizing social issues with its homophonic expression. In April, 2011, Ai Weiwei was arrested to jail for 81 days by Chinese government. Since then, he had been put under house arrest and banned from going abroad until July 2015 when he was given back his passport. At that time,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are for respecting human rights, including those working in the art world across the world released statement saying they support Ai Weiwei; Ai also continuously exhibited all over the world his works which satirize the situation he went through.
    Ai Weiwei’s bold socially-engaged participatory art often leads one to encounter a problem: whether he is a social activist or an artist. The issue of art and politics and of art and society is the subject which has long been discussed across all times and places; it became more publicly visible after we entered the modern society. Considering that Ai’s works put value on the area where experiencing and feeling sympathy takes place with the public, the judge on his participatory art will be made by the public, that is, the audiences. Given the world’s response to his detention in 2011, it is fair to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참여미술 속 풍자와 은유∣189 say that his works hold a stance where art and society are in a symbiotic relationship, impossible to be separated. Ai Weiwei, thus, is performing a mediator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