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늑대인간’과 ‘팜므 파탈’의 만남으로 재화된 『빨간모자』- 안 이클레프와 알랭 고티에의 그림책 『나의 빨간모자』의 시각적 서사를 중심으로 - (Retelling of Little Red Riding Hood as a Narrative of‘Werewolf’and‘Femme Fatale’- a case study on the visual narrative of Mon Chaperon Rouge by Anne Ikhlef and Alain Gauthier -)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08
15P 미리보기
‘늑대인간’과 ‘팜므 파탈’의 만남으로 재화된 『빨간모자』- 안 이클레프와 알랭 고티에의 그림책 『나의 빨간모자』의 시각적 서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4권 / 4호 / 333 ~ 347페이지
    · 저자명 : 이성엽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안느 이클레프가 글을 쓰고 알랭 고티에가 그림을 그린 『나의 빨간모자』를 ‘늑대인간’과 ‘팜므 파탈’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시각적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빨간모자』를 재화한대부분의 그림책들은 그림 형제의 버전을 하위텍스트로 삼는 경우가 주를 이루며, 그 뒤를 잇는 것은페로의 버전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나의 빨간모자』는 페로 버전과 아쉴 밀리앙의 채록 버전을 하위텍스트로 삼아 재화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리고 아쉴 밀리앙의 채록 버전의 특징 중의하나인 ‘늑대인간’ 모티프가 이 작품에 차용되어 있다. 늑대인간과 같은 혼종 캐릭터는 일러스트레이터 고티에가 즐겨 사용하는 모티프인 만큼, 이 작품에서는 텍스트보다 이미지에서 늑대인간 모티프가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시각적 서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팜므 파탈’의 모티프는 오롯이 고티에의 시각적 상상력에 바탕한 것이다. 하위텍스트나 이클레프의 재화 텍스트에서도 찾아볼 수 없으며, 이미지를 통해서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빨간모자는 뱀과의 존재론적 불가분성을 보여주면서 인류 최초의 팜므 파탈이라고 할 수 있는 ‘이브’를 환기시키는 인물로 표현되어 있다. 시각적 차원에서볼 때, 이 작품에서 ‘늑대인간’과 ‘팜므 파탈’로 만난 늑대와 빨간모자는 기존 버전에 나온 것처럼 포식자와 희생자의 관계가 아니라, 서로에 대해 치명적인 매력을 발휘하는 대등한 긴장 관계로 표현되어있다. 따라서 시각적 서사 차원에서『나의 빨간모자』는 ‘늑대인간’과 ‘팜므 파탈’의 대칭적 관계로 인해 남성중심적 역학관계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메타내러티브 차원의 재화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팜므 파탈로 시각화되어 있는 빨간모자의 마성적이고 관능적인 매력으로 인해, 이 작품은 그림책의 전통적인 주요 독자인 아동보다는 성인독자를 겨냥하는 크로스오버 그림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 narrative of Mon Chaperon Rouge, the French picture book written by Anne Ikhlef and illustrated by Alain Gauthier, focusing on the motifs of ‘werewolf’ and ‘femme fatale’. Most picture books that retell Little Red Riding Hood use the Brothers Grimm’s version as a hypotext, followed by Perrault’s version. However, Mon Chaperon Rouge is uncommon in that it is an iconotext based on the French medieval version collected by Achille Millien, the French poet and folklorist and the version of Perrault. Especially, the motif of ‘werewolf',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chille Millien’s version, was adopted in this picture book. Moreover, hybrid characters such as werewolf are a favorite motif of Gauthier, the French avant-garde illustrator. Thus, the werewolf is much more often used in the visual narrative than in the verbal narrative. By contrast, the femme fatale appears solely on Gauthier's illustrations.
    In the graphic narraive, Red Riding Hood is shown having an inseperable ontological relationship with a snake; therefore, she evokes Eve, the first femme fatale of mankind as shown in the Bible. Through the visual narratives of ‘werewolf’ and ‘femme fatale’, the wolf and Red Riding Hood are not in a relationship of a predator and a victim, contrary to expectations. They face each other in an equal power dynamic as they are attracted to each other while simultaneously being a mutual threat. The two beings of equal power are in tension. Therefore, Mon Chaperon Rouge is not just a textual and graphic recreation of the fairy tale but can also be considered as a meta-narrative retelling that subverts male-centered ideology by creating the 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werewolf and the femme fatal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femme fatale’s diabolic attraction and sensual beauty, this iconotext is a crossover picture book aimed at adult readers rather than children who are traditional readers of picture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