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과 기록 관리 (Compilations of Sillok - related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the early years of King Chŏngjo’s reig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9.08
38P 미리보기
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과 기록 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71호 / 217 ~ 254페이지
    · 저자명 : 하명준

    초록

    이 연구는 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인 『영조실록』·『영조실록부록』·『영조보감』의 편찬과 왕실 자료를 보관한 봉모당을 살펴봄으로써 조선 후기 기록물과 기록공간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고 그 정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실록 편찬의 엄정성에 다소 균열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런 속에서 ‘죄인의 아들’로 즉위한 정조는 위태로운 왕권을 안정시키고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에 세심히 관여하였다. 하지만 완성된 『영조실록』은 열람 불가의 禁書였고, 史庫에 秘藏하였으므로 정치적 효용성은 제한적이었다. 정조는 『영조실록부록』의 편찬을 통해 실록이 갖는 정치상의 제약을 다소나마 해소하고자 했다. 그는 영조에게 올리는 告文과 祭文을 친히 작성하고 실록부록에 삽입하였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이 편찬된 이래 처음 있는 사실이었다. 더욱이 정조는 史庫에 봉안하는 것과 별도로 어람용의 실록부록을 제작하여 즉위 초에 건립한 봉모당에서 보관·관리토록 하였다. 그렇지만 여전히 선왕의 聖德과 功烈을 환히 밝히고 널리 드러내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그 과제는 실록의 완성과 맞물려서 착수된 『영조보감』의 편찬을 통해 극복되었다.
    정조는 보감의 편찬을 실록보다 ‘지금 당장’ 절실한 사업으로 간주하였다. 실록이 미래를 위한 ‘비밀’의 기록이라면, 보감은 현재에 널리 드러내기 위한 ‘현창’의 기록이기 때문이었다. 그는 찬집, 교정, 刊印, 배포 등 편찬의 모든 과정에 깊이 개입하였으며, 책에 들어갈 자료에 대해서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 내용은 영조의 功德을 높이고 사도세자의 행적을 복원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는데, 이는 봉모당의 소장 자료를 적극 활용해서 작성되었다. 그리고 완성된 보감 책자는 다시 봉모당에 보관되어 왕실 기록물로서의 위상과 권위를 더하게 되었다.
    정조는 실록부록이나 보감과 같은 왕실 전적을 소장한 봉모당의 운영·관리에도 만전을 기하였다. 그것은 크게 봉모당의 건물을 관리하는 영역(奉審·展拜)과 자료를 관리하는 영역(수시 봉심, 자료 등록 및 정리, 포쇄)으로 나뉘어져 실천되었다. 이와 관련해서 거행된 의식의 중심에는 언제나 국왕 정조가 존재하였다. 이는 곧 봉모당의 위상과 기록물의 중요성을 대변하는 동시에 재위 초반에 완성한 기록물과 기록공간이 왕권을 강화하는데도 상당히 효과적인 기제로 작동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litics of the royal records and the sites created for their storage and maintenance in the late Chosŏn period by examining the compilation of Sillok-related archives such as Yŏngjo-sillok (英祖實錄), Yŏngjo-sillokpurok (英祖實錄附錄), and Yŏngjo-bogam (英祖寶鑑), and investigating the management of Bongmo-dang (奉謨堂, “Bongmo” meaning respecting the ideals and lessons of the former kings, “Dang” meaning house) which was built as an attached building of Kyujanggak(奎章閣). In the midst of a somewhat loosened strictness of the Sillok compilation system, King Chŏngjo(正祖), who ascended the throne as ‘the son of a sinner(Crown Prince Sado)’ intervened deeply in the compilation of records related to the Sillok in order to stabilize the unstable kingship and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king. In addition, he made effective use of royal documents created by the preceding kings preserved in Bongmo-dang by using it as a supplemation for compiling Yŏngjo-bogam, and after Kukcho-bogam was completed, it was enshrined in Bongmo-dang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both the Kukcho-bogam and Bongmo-dang. The above-mentioned compilation of the records related to the Sillok and the role of Bongmo-dang strengthened the legitimacy of the King Chŏngjo and contributed to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and the stability of the sovereign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