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리모노(摺物)의 물성(物性) 표현과 유희성 (Elaborate Techniques, Materiality, andPlayfulness in Surimon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06
35P 미리보기
스리모노(摺物)의 물성(物性) 표현과 유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22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초록

    본 논문은 스리모노(摺物)에 포착된 대상의 물성과 질감을 강조하는 각종 기법들, 즉 제작과 감상 과정 모두에서 사람들의 감각을 총동원하게 하는 표현 방식에 주목하여, 그 구체적인 특징과 의미를 다각도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찍어낸 것 혹은 찍혀진 것이라는 의미의 일본어 스리모노(摺物)는 에도 후기 사적으로 주문 제작된 목판화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에도시대 크게 유행하며 대중적으로 유통 및 판매되었던 상업적 판화 우키요에(浮世絵)와 달리, 개인이나 문인 그룹의 사적인 의뢰를 통해 주문 제작되어, 상업적인 네트워크 밖에서 유통되었다. 다색판화에 금・은・황동 등 다양한 재료뿐만 아니라, 표면에 질감과 입체감을 드러내는 정교한 기법을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본고에서는 스리모노의 전성기이자 그 세부 기법이 최고조에 달한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제작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판화에서 “시각적 촉각성” 혹은 “촉지적 시각성”이 강조되는 맥락을 1) 텍스트, 이미지 및 기법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2) 문인(시인), 에시(絵師 화가), 호리시(彫師 각공), 스리시(摺師 판공) 간 협업이 이루어지는 스리모노의 제작 및 주문 과정 속에서, 3) 스리모노의 배포(선물)와 소유 및 감상의 유희적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스리모노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디자인과 정교한 기법들은, 그림의 주문과 제작・소비를 둘러싸고 에도 후기 성장한 도시민들의 지적・문화적 유희성이 극대화된 결과물이자, 그림을 주문한 후원자가 자신을 드러내는 장치이자 사람들과 관계맺는 방식 중 하나였음을 논의한다.

    영어초록

    Surimono(摺物), which literally means “printed things,” are privately commissioned woodblock prints commonly inscribed with poems. Unlike the commercially distributed and popular ukiyo-e prints, surimono were custom-made upon request by individuals or literary groups and were circulated outside of commercial networks during the late Edo period. Surimono prints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brass, copper, etc., as well as sophisticated gauffrage techniques that reveal texture and depth on the paper surface.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features and meanings of these elaborate techniques in surimono prints, employing a sensory approach to both the production and appreciation proces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intricate and diverse techniques employed in surimono prints created in the late eighteenth to early nineteenth centuries, considered the heyday of surimono production as the detailed techniques reached their peak. In particular,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xt of “visual tactility” or “tactile visuality” of surimono in 1) the interplay among text, image, and technique, 2) the collaborative process among poets, print-designers (e-shi), print-carvers (hori-shi), and printers (suri-shi) in the production and ordering of prints, and 3) the playful aspects of the prints in their production, distribution (as gifts) and ownership, and appreciatio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elaborate techniques in surimono prints were a reflection of urban citizens’ intellectual and cultural playfulness, serving as a means for patrons to reveal themselves while also being a cultural product that was ordered and consu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