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회화에 있어서 행위와 물성의 상호의존성 - 1970~1980년대의 물성회화를 중심으로 - (Interdependancy of Action and Materialhood in Korean Contemporary ‘Mulseung’ Paintings of 1970~1980'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3.08
18P 미리보기
한국 현대회화에 있어서 행위와 물성의 상호의존성 - 1970~1980년대의 물성회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2권 / 3호 / 73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창수

    초록

    본 연구는 1970~80년대 한국 단색회화에서 물성과 행위의 특성을 도출한 뒤 그것을 물성회화 맥락에서 재규정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물성회화는 앵포르멜 이후 단색회화 또는 모노크롬이 전개되는 양상 속에서 포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발견되는 한국미술의 물성과 행위,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상호작용은 서구 미니멀리즘과 다른 한국 미술 특유의 미감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제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물성회화를 한국미술의 역사적 맥락에서 규정한 후 그것이 지닌 실험적 가치와 독자적 성격을 현대적 맥락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본고는 물성회화라는 용어를 규정하기 위해 한국현대회화, 특히 단색회화의 형성과정과 계보를 살펴본다. 1970년대와 80년대에 활발하게 전개된 단색회화는 때때로 미국의 색면 추상이나 미니멀리즘과 유사하다는 평을 받지만 사실상 그 제작 원리나 미학에 있어서 매우 다른 층위에 놓인다고 여겨진다. 그 대표적인 차이가 바로 물성과 행위의 요소에서 비롯되는데, 본고는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표본작가를 선정하고 선행 사례의 차원에서 논의한다. 한국 특유의 단색회화를 형성한 대표적인 작가들 중 본고에서는 특히 정창섭과 하종현을 중심으로 물성회화를 다룬다. 정창섭은 전면시(全面視, all-over vision)를 물아합일에 이르며, 하종현은 후방시(後方視, view from the rear)를 통해 물성들의 접합을 달성한 바 있다. 이때 본 연구자가 수행하는 물성회화는 양자를 매개하는 지점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자의 작품들은 한지의 물성을 토대로 하며, 그것을 두드리는 행위를 통해 형태를 구성한다. 이러한 작업과정의 의미는 행위의 면과 물성의 면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소통, 즉 일종의 물아합일을 이룬다. 결과적으로는 본 연구자의 작업은 1970~80년대 모노크롬의 정신을 계승받되 이를 단순한 표현 방식으로 연구하는 것을 뛰어 넘어 현대적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firstly, ‘materialhood(Mulseong)’ and action, found in the Korean monochrome paintings of 1970s and 1980s are reviewed, and their interdependency in the context of ‘Mulseong’ paintings are discussed. ‘Mulseong’painting can be traced back to the beginning of monochrome paintings after the Informel, however the materialhood and the action, and their interdependency in the paintings of the Korean artists have expressed the aesthetic sense unique to the Korean painting, different from the Minimalism of the West. Given the premise, ‘Mulseong’ painting is defined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art in Korea, and its significance as an experimental efforts and its unique posi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are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to define the term, ‘Mulseong’ painting, the evolution and the genealogy of monochrome painting in the contemporary art of Korea are studied. Monochrome painting, widely accepted in 1970s and 1980s, used to be evaluated as similar to Color-field abstraction of the US, or Minimalism, however it is positioned on a totally different layer in the respect of the principle of creation or the aesthetics. The clear-cut distiction between ‘Mulseong’ painting and the others would be the role of materialhood and action in painti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disctinction, the sample artists are selected and researched as preceding case of ‘Mulseong’ painting.
    Among the widely-known artists of Korean monochrome paintings, JEONG, Chang-Seop and HA, Jong-Hyeon were selected for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While Jeong achieves ‘Unity without Self (沒我合一)’via 'all-over vision', while Ha did zygosis of materialities via 'view from the rear'. He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aintings of the author are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wo are intermediated.
    The works of the author is based on materialhood of Korean paper and take their forms through the action of pounding. The implication of the action and the process of creation can be argued in 2 aspect: the action, and the materialhood. Ultimately, these 2 aspec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reach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n other words, Unity without Self. In the end, the author succeeds the spirit of monochrome painting in the 1970s and 1980s,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author just employ the as a simple way of expression, but he endeavors to transcend it and seeks the modern implication of monochrome.
    In this respect, the unity of materialhood and action, which the author has pursued throughout his works, focus on emotional aspect of monochrome, based on the naturalism of Korea. The key in the argument of this study in the contemporary arts is that most of researches of arts are focused more on listening to the sound of individual entities in a structure. In this study, he considers that the harmony of individual entities in the era of comeliness, in which existence of small individuals extinct and recreated over and over, is the contemporary issue with material importance.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argument in this study and the works of the author are practical approach, where the nature and an individual are synchronized in a specific occasion of our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