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궁궐 정문 시설물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main gate facilities of the pa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조선시대 궁궐 정문 시설물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고고학 / 16호 / 89 ~ 114페이지
    · 저자명 : 정해득

    초록

    중국은 천자국으로서 황궁에 오문을 세웠고, 제후국은 왕궁에 삼문을 세웠다. 조선의 경복궁은 제후의 예에 따라 삼문제도를 적용하였는데, 정문인 광화문 앞에 위계를 드러내기 위한 시설물을 설치하지는 않았다. 조선 세종 때 예조판서 신상은 시설물을 설치하여 위엄을 드러내야 한다고 건의하였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신상의 건의는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반영되었는데, 북경 자금성 정문 앞 시설물을 본 사신과 수행원들의 견문록이 참고된 것으로 보인다.
    북경 자금성으로 출입하는 정문은 ‘대명문’이었다가 청대에 ‘대청문’으로 문호를 변경하였다. 대명문에 대한 정보는 최부의 『표해록』에 소개된 적이 있는데, 정조시대 북경에 다녀온 인물들이 대청문 앞 시설물에 대해 자세한 견문록을 남겼다. 화사(畫師)에 의해 그려진 『연행도』를 통해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이 축적된 상태에서 경복궁이 중건되었고, 조선의 관료들은 광화문 앞에 월대를 설치하여 경복궁의 위엄을 표현해냈다. 돌다리처럼 보이는 월대 평면에 2줄의 경계석을 놓아 어로와 관료가 사용하는 길을 구분하였다. 광화문 월대는 왕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문무관료의 신분을 분명하게 구분하게 되었고, 해치상을 세워서 경건한 마음가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China, as a nation of emperors, built five gates in the imperial palace, and the feudal lords built three gates in the royal palace. Gyeongbokgung Palace in Joseon applied the Sammun system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feudal lords, but no facilities were installed in front of Gwanghwamun, the main gate, to reveal hierarch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Yejo Panseo Shin Sang(申商) suggested that the statue of God should display its majesty by installing facilities, but this was not implemented. The suggestion of the statue was reflected in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and it appears that the records of the envoys and attendants who saw the facility in front of the main gate of the Forbidden City in Beijing were referenced.
    The main gate to the Forbidden City in Beijing was ‘Daming Gate(大明門)’, but the name was changed to ‘Da Qing Gate(大淸門)’ during the Qing Dynasty. Information about ‘Daming Gate’ was introduced in Choi Bu(崔溥)'s 『Pyohaerok(漂海錄)』, where people who visited Beijing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left detailed records of their visits to the facilities in front of ‘Da Qing Gate’.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Yeonhaengdo(燕行圖)』 drawn by Painter(畫師).
    With this information accumulated, Gyeongbokgung Palace was rebuilt, and Joseon officials installed a Woldae(月臺) in front of Gwanghwamun to express the majesty of Gyeongbokgung Palace. Two rows of boundary stones were plac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Woldae, which looks like a stone bridge, to separate the paths used by fishing and government officials. Gwanghwamun Woldae clearly distinguished the statu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entering the king's space,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 pious attitude by erecting a statue of Haechi(獬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