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詩에 나타난 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in poetry about t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5.03
26P 미리보기
茶詩에 나타난 물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차문화산업학 / 27권 / 1 ~ 26페이지
    · 저자명 : 김길령

    초록

    물의 팔덕을 갖춘 물은 가볍고 맑으며 시원하고 부드럽고 아름답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비위에 맞아 먹어도 탈이 없는 물이다. 차를 우리는 가장 최상의 물은 샘물 중 유천이었으며 자연속의 물은 생명의 물이여 그 깨끗함은 모든 생명을 구원하게 된다.
    고려시대에 김극기가 쓴 「유산 기슭의 薄金川 물」, 이규보(1168년~1241년)의 「元曉房」, 혜심(1178년~1234년)의「茶泉」, 이색(1328년~1396년) 의「靈泉」, 이숭인(1349년~1392년) 의「陶隱集」 시에서 나타난 바로는 좋은 물이 좋은 차를 만날 때 참다운 맛을 낸다고 하였다. 또한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맑은 샘물 길어 한잔 차를 끓여 마시는 것은 선의 경지에 도달하게 되고, 맑은 물은 정신과 육체를 맑게 하며 나 스스로를 닦는 수행이 정신과 육체를 온갖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줌으로 물이 곧 다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많은 시․서․화가 전하며 그 중 차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다시(茶詩)가 기록으로 남아있다. 물은 모든 물질세계를 구성하는 기본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존재의 생명질서를 유지 보전하여 줄 수 있는 기본적 요소이며 특히 인간은 물을 이용하여 살아가며 생존환경이나 생활환경에 아주 중요하다.
    다인은 좋은 물을 얻기 위해 새벽 일찍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물을 길어 차를 우린다. 이러한 행위는 지극히 도의 경지에 도달하는 수행의 과정이며 이런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닦게 되며 다도의 정신을 실천하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Water with the eight virtues is light, clear, cool, soft, beautiful, odorless, suitable one’s taste, and drinkable. The best water for tea is flowing water among spring water. However, using raising water for tea is also fine if flowing water dese not exist. Water in nature is water of life and its purity saves all lives.
    There are many poems, writings, and paintings inherited from Gory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also many poems about tea. Water is a basic element. It basically functions as a compound of the material world and a factor for preservation of the order of life. Humans are surrounded by water and they use it for living,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rviv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The real taste of tea is brought out when fine tea is brewed with fine water.
    Tea masters bring water in the early morning with sincerity to gain fine water for brewing tea. This practice is a process of reaching the level of a moral principle. Through this process, people cultivate themselves morally and practice the spirit of tea cere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문화산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