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건축물의 공간기능 변용 고찰 (A Study of Space Functional Transformation in Religious Architectur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5.08
10P 미리보기
종교건축물의 공간기능 변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0권 / 4호 / 94 ~ 103페이지
    · 저자명 : 백지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에는 여러 종류의 종교가 공존한다. 각 종교는 각자의 신앙적 목표 달성 뿐 아니라, 현대에 이르기까지 민중의 생활 속에서 사회적 발전을 도모하는데 영향을 미쳐왔다. 현재 내국인의 신자를 갖는 대부분의 종교는 민족 토속 종교가 아닌, 해외에서 들어온 종교이다. 해외에서 유입된 종교가 국내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리 문화에 맞도록 변형된 부분이 있을 것이고, 이러한 변화는 건축 공간에 있어서도 변화된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1)현재의 종교 건축의 공간은 국내 유입 초기 건축의 공간 기능 원형에서 변화된 부분이 있을 것이다. 가설2) 종교별로 공간 기능 변용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을 위하여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종교시설 공간기능 변천을 고찰함으로써 차후 설립되는 종교 건축물의 설계 방향에 지침이 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대중적 종교인, 불교, 천주교, 개신교의 세 종교를 선택하여 각 종교의 국내도입 과정과 초기 종교건축물의 특징을 이론 고찰한다. 각 종교의 규모나 역사성, 대중성을 고려하여 도심에 있는 대표성을 띠는 종교 건축물로, 불교는 조계사, 천주교는 명동 성당, 개신교에서는 정동제일교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종교 시설 건축물의 초기 모습과 현재까지의 변천과정, 현재의 건축현황을 조사한다. 현재의 각 종교 시설물의 건축 공간 현황을 분석하여 초기 종교 시설의 건축 공간기능 원형과 2015년 현황의 차이를 조사, 분석한다. (결과) 각 종교시설 건축물의 공간 기능 구성을 전체면적 대비, 각 기능 공간의 연면적 비율로 비교, 종합하면, 정동제일교회는 신앙과 업무, 편의 공간의 면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조계사와 명동성당에는 있는 상업 기능과 거주 기능의 공간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조계사는 업무 공간의 면적 비율이, 명동성당은 신앙공간의 면적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나, 실재 연면적을 비교해보면 타 종교시설과 유사한 면적을 보유하고 있어 그 외의 다른 기능의 공간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세 종교시설은 모두 건축 원형의 기본 기능을 보존한 상태에서 시대 변천과 발달에 따라 부속의 기능 공간을 갖게 되었는데, 조계사에서는 교육과 문화 기능이, 명동성당에서는 문화와 업무, 편의 기능이, 정동제일교회에서는 신앙과 편의, 업무 기능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several different religions in Korea. Each religion has contributed to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religious goals in the lives of the people. Many Korean religions were imported from abroad. I suggest a hypothesis that the initial form of each imported religion has been transform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ivic and social harmony. I believe that some of these transformed aspects can be identified in religious architecture, since architecture reflects the surrounding society and the state of the era, and religious architecture also incorporates theological elements. Hypothesis 1) Current religious spaces in Korea may have transformed aspect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onstructions. Hypothesis 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transformation of functional space by relig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future religious architecture. (Method) Jogye Templa, Myeong-dong Cathedral, and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are chosen as representative cases since Buddhism,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re the most three most prominent religions in Korea. In terms of the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the original designs of the representative buildings are considered with respect to their religious architecture. Second, the progress made in terms of the buildings’ 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to religious facilities are considered. Third, the current status in terms of the usage of space in each is investigated by observation, and by reviewing building inspection documents. (Results) Total area of the space functional arrangement of the buildings are comprehensive, compared to total floor area ratio of each religious facilities functional space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space in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in terms of functional areas for religious services, offices, and amenities is relatively high. However, it does not have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 features, unlike in Jogye Temple and Myeong-dong Cathedral. There is a lower proportion of functional office space in Jogye Temple, and of religious space in Myeong-dong Cathedral, but in terms of the actual floor area the amount is similar across the religious institutions, and the space ratio of any other functions high. (Conclusions) I find that all three religious facilities were developed and purposed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al spaces required at the time, while the basic features of the original functional space, such as religious space and residential space, are preserved. Most of the space is dedicated to educational and cultural functions in Jogye Temple; cultural, commercial, and amenity functions in Myeong-dong Cathedral; and religious, amenity, and office functions in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