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탐라순력도』의 건축물 표현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Techniques of 『Tamna Sullyeokdo』)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12
39P 미리보기
『탐라순력도』의 건축물 표현 기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62호 / 163 ~ 201페이지
    · 저자명 : 탁경백

    초록

    이 연구는 18세기에 그려진 『탐라순력도』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표현 기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탐라순력도』는 제주목사 이형상이 순력 후 김남길을 시켜 그린 그림첩이다. 제주목을 포함하여 3성 9진에서 실시한 행사를 그리다 보니 자연스럽게 많은 건축물의 모습이 모두 41개의 그림 중 33개의 그림에서 확인되었다.
    이 그림의 건축물이 그려진 기법이나 표현은 이전에 그린 그림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궁중기록화, 계회도, 가도, 지도 등에서 그려진 건축물의 표현 기법을 살펴보았다. 각 그림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평행직선구도, 평행사선구도, 정ㆍ후면만 그리기, 평행원근법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제주도는 일반적으로 그림 상단이 남쪽인데, 『탐라순력도』내 그림의 상단 방향을 고찰하여 건물에 따라 조금씩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성 9진의 건축물의 세부 표현법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주요 건물과 부속 건물, 그림의 배경이 되는 수평방향건물과 수직방향건물에 적용된 기법을 파악한 결과 정ㆍ후면만 그리기가 전체 건물표현에서 43번 사용되었고 평행사선구도는 40번, 평행직선구도는 34번 사용되었다. 평행사선구도가 많은 것은 배경이 되는 수직방향건물을 모두 이 기법으로 그렸기 때문이다. 전 시대에 유행한 평행원근법은 5번만 사용되어 구사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를 통해 당시 화공들의 건축물 인식의 수준을 알 수 있었고 행사를 위한 건축물의 구도나 배치를 유연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초 김남길이 혼자 그린 것으로 알려졌지만 조력한 집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reveal expression techniques focusing on the buildings of 『Tamna Sullyeokdo』 painted in the 18th century. 『Tamna Sullyeokdo』 is a picture book drawn by Jeju pastor Lee Hyeong-sang and commissioned Kim Nam-gil to do it after his trip. While drawing the events held in the 3 walled-towns and 9 military forts, including Jeju-mok, the appearance of many buildings was naturally confirmed in 33 of the 41 drawings.
    It was judged that the techniques and expressions of the buildings in this painting were related to paintings from an earlier era, so we looked at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buildings drawn in the Royal paintings, Gyehoedo(A picture of people with the same thoughts, philosophy gathered together), Roads, maps, etc. There are differences in each picture, but in general, parallel linear perspective, parallel diagonal perspective, drawing only the front and back, and reverse perspective were used.
    In addition, in Jeju Island, the top of the picture is generally towards the south, and by examining the direction of the top of the picture in 『Tamna Sullyeokdo』,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it changed slightly depending on the building, and we confirmed the detailed expression method of the buildings in three walled-towns and nine military Forts.
    Final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techniques applied to each main building, annex buildings,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uildings that serve as the background of the picture, drawing only the front and rear was used 43 times in the expression of all buildings. And the parallel diagonal perspective was used 40 times, and parallel linear perspective were used 34 times. The reason there are so many parallel diagonal perspective is because all the vertical seated buildings in the background were drawn using this technique. It is presumed that the reverse perspective, which was popular in the previous era, was difficult to use because it was used only 5 time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level of architectural perception of the painters at the time and found that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buildings for events were flexible. Also, it is known that Kim Nam-gil initially painted it alone, but it is presumed that there was a group that assi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