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의 물고기 은유 고찰 (Analysis of the Fish Metaphor in "Zhuangz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09
23P 미리보기
『장자』의 물고기 은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9호 / 67 ~ 89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본 논문은 장자의 사상을 전달하는 대표적인 은유체인 물고기의 이야기를 분석함으로써 장자의 은유가 목표하는 바를 고찰하는 것이다. 물고기는 『장자』전편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그중에서 북쪽 바다의 물고기, 강호의 물고기, 호수(濠水)의 물고기, 이 세 부분에 등장하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북쪽 바다의 물고기가 은유하는 바는 ‘거대함(大)’과 ‘변화(化)’ 이다. ‘거대함’은 진선미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자 상대적인 아름다움이 아닌 절대적인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거대함’은 ‘작음(小)’와 대비된다. 거대함과 작음의 차이는 ‘짧은 수명(小年)’과 ‘긴 수명(大年)’, 그리고 ‘작은 지식(小知)’과 ‘큰 지식(大知)’로 변용되며 나아가 ‘작은 쓰임(小用)’과 ‘큰 쓰임(大用)’으로 확장된다. ‘큰 쓰임’이란 곧 ‘쓸모없음(無用)’이며 ‘쓸모없음’은 곧 ‘소요’를 이끌어낸다. 즉 물고기의 ‘거대함’은 ‘큰 지식’, ‘긴 수명’, ‘큰 쓰임’으로 구체화되고 그 결론은 ‘소요’에 이르는 것이다. 물고기가 새로 탈바꿈하는 것을 표현한 ‘변화(化)’는 생명의 영역들 간에 종(種)적인 차이가 없었던 고대 신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장자』에서 만물은 변화를 통해 끊임없이 순환한다. 인간과 동물, 혹은 식물 사이에 어떠한 경계가 없으므로 물고기는 새로 변화하고, 장주는 나비로 변화한다. ‘변화’는 자연의 모든 생명이 똑같이 존중받는 생태적 세계관의 토대이다.
    둘째, 강호의 물고기가 은유하는 것은 ‘잊음(忘)’이다. ‘잊음’은 장자 수행론의 핵심이다. ‘잊음’의 최종 상태는 자기 자신조차 잊는 것으로 『장자』에서 최고 수행상태인 ‘무기(無己)’, ‘상아(喪我)’, ‘심재(喪我)’, ‘좌망(喪我)’의 핵심을 이룬다. ‘잊음’이란 참된 나를 발견하는 최고의 수행방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호수(濠水)의 물고기가 은유하는 것은 ‘노닒(遊)’ 이다. ‘노닒’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한가롭고 자유롭게 헤엄치는 것을 묘사한 말로서 자연의 본성에 따라 저절로 움직임을 말한다. ‘노닒’ 는 인위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이 모두 자유로운 자연의 상태로 움직이는 방식이자 그로부터 느끼는 즐거움까지 포함한다. ‘노닒’는 장자의 사상을 대표하는 개념인 ‘소요유’의 핵심 개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tentions behind Zhuangzi's metaphors by analyzing the story of the representative metaphorical fish, which serves as a conduit for conveying Zhuangzi's philosophy. The fish appears repeatedly throughout all sections of "Zhuangzi." In this study, particular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fish from the Northern Sea, the fish from the river's rapids, and the fish from the lake, which are all integral components of the fish metaphor in "Zhuangzi" Firstly, the fish from the Northern Sea symbolizes "huge (大)" and "transform (化)." "Huge" represent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genuine beauty, which is not relative but absolute. "Huge" is contrasted with "small (小)." The contrast between "huge" and "small" extends to "a few years (小年)" and "many years (大年)," as well as "small knowledge (小知)" and "great knowledge (大知)," eventually expanding to "small use (小用)" and "great use (大用)." "Great use" leads to "uselessness (無用)," and "uselessness" leads to "free and easy wandering (逍遙遊)." In this context, the fish's "huge" is concretized through "great knowledge," "many years," and "great use," ultimately leading to "free and easy wandering." The idea of "transform" depicts a world from ancient myths where there were no fixed distinctions among different forms of life. In the "Zhuangzi," everything constantly circulates through transformation. There are no rigid boundaries between humans, animals, and plants. Thus, fish transform into new forms, and insects transform into butterflies. "Transform" forms the foundation of an ecological worldview where all forms of life are equally respected by nature.
    Secondly, the fish from the river's rapids represents "forgetting (忘)." "Forgetting" is the core of Zhuangzi's philosophy of practice. The ultimate state of "forgetting" is forgetting even oneself, which aligns with the pinnacle of Zhuangzi's practice: "no thought of self (無己)" and "losing oneself (喪我)." "Forgetting (忘)" can be considered the supreme method to discover the true self.
    Thirdly, the fish from the lake symbolizes "playing(遊)." "Playing" describes the fish swimming leisurely and freely in the water, representing spontaneous movement according to nature's essence. "Playing" encompasses moving away from artificial constraints, allowing both body and mind to move freely in a natural state, including the pleasure derived from it. "Playing" is the core concept of "Free and Easy Wandering," a representative idea in Zhuangzi's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