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40년대 書物同好會의 활동과 朝鮮 인식 (Shomotsu-Doukoukai (書物同好會, the Book Club)’s Perspectives on Korea and Korean Studies in the 1930s~1940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5.09
39P 미리보기
1930~40년대 書物同好會의 활동과 朝鮮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1호 / 253 ~ 291페이지
    · 저자명 : 이현희

    초록

    1937년 설립된 서물동호회는 1920년대 중반 경성제대 도서관 종사자들이 주도하여 창립한 조선도서관연구회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조직한 모임이다. 이들은 병합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재조선 일본인 사회의 조선연구를 계승하고, 특히 1930년대 중반 이후 조선학 ‘운동’이 침체한 상황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이들은 약 60여 차례의 예회를 통해 총20호의 『서물동호회회보』를 발행하고, 특별간행물로 11권의 『서물동호회책자』 및 엽서집 『書影』을 출판하였다.
    서물동호회는 書誌學을 중심으로 민속학과 역사학적인 측면에서 많은 글을 남겼다. 이들은 조선과 관련된 각종 서적을 조사·수집하고, ‘조선 서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조선의 범주를 고민하였다. 민속학적 연구에서는 조선의 민속을 통해 조선 민중을 이해해 보고자 한 시각도 존재하였지만, 여전히 조선을 정체된 사회로 바라보면서 ‘전근대적’인 조선의 풍속에 대해 비판하는 시각이 강하였다.
    서물동호회의 일본인 회원들은 조선사를 중국와의 관계사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중국에 대한 事大관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동시에 이들은 조선 사회의 주체적 역량을 의심하고, 추사 김정희가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던 점을 강조하면서 그를 조선 사회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하였다.
    이들은 연구활동의 일환으로 재조선 일본인 사회의 조선연구를 조사하고, 이를 높이 평가하였다. 동시에 이들은 경성제국대학 설립 이전 비공식적인 학계에서 활동하던 ‘선배’들과 자신들을 분리하여 인식하는 경향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서물동호회에 참여한 조선인들은 그 학문적 계보를 불문하고 참여하였다. 이들은 주로 서지학분야에서 ‘과학적 연구’를 통해 일본인들과 경쟁하며 조선학을 새롭게 규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은 조선 서적에 대한 소개와 함께 역사적 맥락의 ‘해석’을 덧붙이는 등, 서물동호회를 조선학 연구의 한 거점으로 삼고 주체적 조선학을 모색하였다.

    영어초록

    Shomotsu-Doukoukai (書物同好會, the Book Club) was founded in 1937. Leaders of the Chosen-Toshokan-Genkyukai (朝鮮圖書館硏究會, the Korean Library Research Organization) created the club and inherited the Japanese’s Korean Studies activities. Their research was very active at a time when the Korean Studies Movement was in recession. They issued a total of 20 Newsletters, and published 11 special booklets and 3 postcards.
    The Book Club's Japanese members wrote numerous articles on the history and folklore of Korea, particularly about Korean bibliography. They categorized the Korean boundaries with reference to “Korean” Books. Meanwhile, while some tried to understand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folklore of Korea, many criticized the pre-modern Korean society and regarded Korea as a stagnant society.
    They viewed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and criticized the tribute system. At the same time, they doubted the independent capability of Korea. As a result, they saw Chusa Kim Jeonghui as a leading figure who had actively adopted the Qing dynasty's Chinese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y valued their elder Japanese's Korean Studies very highly. However, despite this high consideration, they had a tendency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ir seniors as the latter were not educated and had not worked in the official academy.
    The Korean members were united together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genealogy, primarily competing with Japanese members through "scientific research"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They also brought their own “interpretation” to their Korean Studies, and ultimately wanted to establish the Book Club as a base for Korean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