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양반층의 立後 양상과 전략적 繼子 선택-安東金氏 文正公派, 延安李氏 館洞派, 眞城李氏 退溪후손들을 중심으로- (Patterns of Adoption among The Yangban Elite in The Late Joseon Dynas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5.06
39P 미리보기
조선후기 양반층의 立後 양상과 전략적 繼子 선택-安東金氏 文正公派, 延安李氏 館洞派, 眞城李氏 退溪후손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3호 / 287 ~ 325페이지
    · 저자명 : 한상우

    초록

    立後 관습은 17․18세기를 지나면서 양반층의 주요한 문화로 자리 잡았다. 가계 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이 입후의 구체적인 모습에 접근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여러 친족집단의 족보를 이용하여 입후를 유형화하고, 더 나아가 친족집단 간 양상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의도적 계자 선택의 가능성, 즉 전략적 입후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분석 대상 가문인 안동김씨 문정공파, 연안이씨 관동파, 진성이씨 퇴계후손들 중 적자손들에게서는 일찍부터 높은 立後率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 속에서도 無後가 되는 자들이 존재했다. 특히 연안이씨 관동파의 경우, 18세기는 물론 19세기까지도 무후가 확인되며 심지어 형제의 아들(3촌 조카)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무후로 남은 자들이 발견된다. 이는 입후가 자연스레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입후에는 고려되어야 할 여러 문제들이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입후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이자 전략은 혈연적으로 가장 가까운 자를 계자로 삼는 것이었다. 이는 개인적 情感이나 검증의 용이성, 재산상속 문제 등을 고려한 결과였다. 하지만 입후 후보자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더 멀리서 계자를 입후한 사례들이 적지 않게 발견된다. 입후시에는 부계의 昭穆는 물론 非부계 혈연관계를 확인해야 했다. 또 입후는 봉사권이나 재산상속과 관련되는 문제이기에 여러 주체들이 영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양가와 생가의 사회적 위상과 정치적 성향 역시 중요한 문제였다. 이와 같은 조건들을 충족하는 후보자가 없는 경우 입후 범위는 넓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의도적으로 멀리서 계자를 선택한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들도 발견된다. 3품 이상의 高官이나 宗孫, 累代 장남가계에서도 입후 후보자를 멀리서 구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양가의 사회적 위상이 우월했던 이 경우는 의도적으로 계자를 선택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안동김씨와 진성이씨의 경우는 가까운 입후 후보자를 제치고 계자가 된 자들이 사회적 성취를 이룰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 이처럼 조선후기 입후는 혈연적 거리에 따라 기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었으며, 가족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전략적 행위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었다.

    영어초록

    Adoption had became indispensable for family succession of Yangban elite at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adoption and compare it between lineages in the 17-19th century. And I considered the possibility that the adopted sons could be selected intentionally.
    The data set for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genealogies of some powerful lineages; the Munjeongkong lineage from Andong Kim clan, Kwandong lineage from Yeonan Lee clan and descendants of Toegye Lee Hwang from Jinseong Lee clan. The proportion of the families which were succeeded by adoption in these lineages emerges high from the late 17th century. Despite this trend, the heirless still existed until the 19th century. It means that the adoption were not automatically executed.
    The basic pattern of adoption is bringing a son from the closest agnate brothers if they could. This is associated with emotion as a family, easiness of verification. And this pattern can prevent dispute between relatives caused by distribution of property. However some families adopted a son from distant relative, even though they have applicants from close relative. Because there were several issues to be considered. First of all they should examine the generation of the adoptee of the paternal and maternal clan. And they need to deliberate intentions of the close relatives. Adoption could not operated if the social status of the adoptive family and the adopted family were not equal. Religious and political bias of the applicants could be important issue. If the applicants does not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range of adoption could be expanded.
    Several cases seems to be selecting a son from a distance relative. Some the eldest families and families having a high official ranks of the lineages adopted a son from distance relatives. We can assess these cases as a result of intentional selection, because of these families were powerful. Sometimes this tactical behavior brought successful result to the adoptive family and adoptee. Indeed the adopted who won the close applicants of the Andong Kim and Jinseong Lee clan tend to experience social success. The patterns and aspect of adoption show us that the selection of son was not automatically operated. The adoptive family could make tactical decision for successful family succ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