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기 북한 문예지 『문학예술』(1950.6~1953.8)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과 인물의 내면 풍경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published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journal “Literature and Arts”(June 1950-August 1953) during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ambivalence of contemporary 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1.07
27P 미리보기
한국전쟁기 북한 문예지 『문학예술』(1950.6~1953.8)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과 인물의 내면 풍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1호 / 217 ~ 243페이지
    · 저자명 : 오태호

    초록

    본고는 한국전쟁기(1950.6~1953.7) 북한 월간 문예지 『문학예술』(1950.6~1953.8)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를 통해 당문학을 표방하는 북한 문학의 이데올로기적 경직성과 서사적 유연성을 살펴보기 위해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과 인물의 내면 풍경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한국 전쟁기는 분단 이후 북한문학에서의 창작방법으로 ‘고상한 사실주의’를 계승하면서 세계관으로서의 ‘고상한 애국주의’를 강조하던 시기에 해당한다. 북한에서는 전쟁기 이래로 한국전쟁을 ‘조국해방전쟁’으로 명명하며 ‘미제와 남조선의 북침에 대한 대응’으로 규정하면서 전쟁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문학예술』에 발표된 텍스트들을 고찰해 보면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을 중심으로 경직된 이데올로그를 넘어서서 텍스트의 내적 리얼리티를 성취하려는 문학적 유연성을 드러내는 작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박찬모의 「수류탄」은 주인공 영우가 ‘인민군의 폭격 부재’에 대해 불만을 털어놓거나 작품 말미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떠올리면서 삼각산 풍경을 흐릿하게 관조하며 생명이 꺼져가는 모습에서 모더니즘적 내면이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황건의 「안해」 역시 ‘탄실의 내면 풍경’이 진솔하게 포착되면서, ‘영웅적 서사’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임무 수행의 와중에서 드러나는 심리적 동요를 설득력 있게 형상화한다. 현덕의 「첫 전투에서」는 북한문학의 도식주의적 경향이 서사의 유연성을 억압하는 잘못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입체적인 평가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리상현의 「고압선」은 영예군인인 진수가 ‘동지적 우정’과 ‘이성적 사랑’ 사이에서 동요하는 모습을 통해 진솔한 내면의 욕망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 북한 단편소설이 지닌 등장인물의 심리적 동요와 함께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문학이 내포한 리얼리티적 유연성이 살아있었음을 주목하였다. 그것이 남북한 문학의 접점으로써 텍스트의 서사적 리얼리티라는 미학성을 공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기 북한소설은 남한의 종군문학과 함께 입체적으로 조망되어야 할 텍스트에 해당한다. ‘적과 동지’라는 이분법적 시각이 전쟁 서사의 기본적 골격에 해당하지만, 황순원의 「학」이나 하근찬의 「수난이대」처럼 다면체적 인간의 본성을 포착한 작품이 남한에 존재하듯, 북한에서도 인간의 심리적 동요를 보여주는 단편의 미학이 존재한다. ‘뺄셈의 정치학’으로 일관하던 ‘북한문학의 여집합’을 복원하여 ‘덧셈의 문학장’으로 외연을 확장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의 통합문학적 시각을 확보할 필요가 대두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igidity and flexibility of North Korean literature by examining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published in the North Korean monthly literary magazine "Literature and Arts"(June 1950-August 1953) during the Korean War(June 1950-July 1953). The Korean War period corresponds to a time when the worldview and creative method in North Korean literature, inherited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 emphasized "high patriotism." Named “Fatherland Liberation War,” the Korean War and since the war in North Korea and emphasizes the justification for the war, as ‘the invasion of North Korea by the U.S. imperialists and the South Korean response’.
    However, considering the texts published in "Literature and Arts," one can see works that reveal ideological flexibility as a literary universality. Park Chan-mo's "Grenade" reveals his modernist inner self in the scene of Young-woo's dissatisfaction with the "No Bombing of the People's Army" or his life fading and blurring over the scenery of the triangular mountain as he remembers his dead mother at the end of the work. Hwang Geon's "Wife" persuasively embodies the psychological agitation revealed in the midst of the miss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heroic narrative" as the "inner psychology of Tansil" is truly captured. Hyun Deok's "In the First Battle" shows that the schematic trend of North Korean literature can be used as a false guide to suppress the flexibility of literature, but it is noted that three-dimensional evaluations are taking place despite the war. Lee Sang-hyun's "High Tension Wire" shows his sincere inner desire through the scene of Jin-su, an honorable soldier, swaying between "friendship as a comrade" and "love as a reason." By analyzing both the rigidity and flexibility of North Korean short stories during the Korean War, it was noted that realistic flexibility was alive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is because it is a way to share the esthetics of literary reality 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literatures of the two Koreas. North Korean novels during the 1950s characterize texts that should be viewed in three dimensions with South Korean war literature. There is a short esthetic trend showing human psychological agitation. The need to secure an integrated literary perspective between the two Koreas emerges by restoring "a collection of women in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used to be consistent with "politics of subtraction," to expand its scope to "literature of ad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