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분석 ― ‘매개’ 범주의 능력기술문 분포에 대한 통계적 접근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EFR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Curricula - A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istribution of Mediation Descriptor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분석 ― ‘매개’ 범주의 능력기술문 분포에 대한 통계적 접근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100권 / 643 ~ 675페이지
    · 저자명 : 이홍석, 진대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유럽공통참조기준(2020)』의 매개 범주 능력기술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교육부, 2021)』과 대조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2장에서는 CEFR의 기본 관점인 행위 지향 접근법과 CEFR에서 재구조화된 언어활동(수용, 산출, 상호작용, 매개)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매개 범주 능력기술문의 구조적 특징을 정리한 후 교육부(2021) 자료와 비교해 보고 CEFR(2020) 체계 안에서 상호작용과 매개 범주의 관련성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매개 범주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CEFR(2020) 매개 범주의 능력기술문 303개를 분석한 결과 ‘텍스트 매개’의 ‘구어로 텍스트 매개하기’에서 능력기술문이 28개로 최다였고 등급별로는 B2에 능력기술문이 55개로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교육부(2021)의 능력기술문은 CEFR(2020)을 기본 바탕으로 유지하되 일부 내용이 조정된 모습이었는데, 전체적인 분포에서는 CEFR(2020)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미세한 차이는 있었다. 그리고 상호작용 범주와 매개 범주는 최소 36.2%, 최대 50% 정도로 서로 관련성이 높은 ‘행위’를 전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육에서 ‘더 좋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CEFR(2020)이 그러한 요구에 시사하는 바가 큰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하나의 시각과 제안을 덧붙였다는 점이 이 글의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던 매개 범주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 교재 또는 교수 학습의 형태로 나타나는 실제 현상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지 못했다는 점은 이 글의 분명한 한계임을 밝히며 차후 후속 논의를 통해 보완될 수 있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mediation descriptors outlined in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2020) and to compare the findings wit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Overseas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inistry of Education, 2021), with the ultimate goal of deriving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ction-oriented approach, thefoundational perspective of CEFR, and examines the restructured language activities (reception, production, interaction, and mediation) introduced in CEFR. Chapter 3 elucidat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diation descriptors,compares these descriptors with those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1) curriculum, and investigate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interaction and mediation categories within the CEFR (2020) framework. Building on these analyses, Chapter 4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e mediation category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 in-depth analysis of 303 mediation descriptors from CEFR (2020) reveals that the subcategory “mediation of texts,” particularly “mediating a text orally,” includes the highest number of descriptors (28 items), with the B2 proficiency level exhibiting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escriptors (55 items). The descriptors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1) curriculum were found to broadly align with the CEFR (2020) framework, albeit with minor adjustments. While no substantialdiscrepancies were observed in the overall distribution, nuanced differences were evident. And the interaction and mediation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sharing a highly correlated conceptual foundation, with their interrelation ranging between 36.2% and 50%.
    In light of the persistent demand for more refined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nsights offered by CEFR (2020) in addressing these demands, this study contributes a unique perspective and a set of recommendations. Its academic value lies in its empirical focus on the mediation category, which has yet to be fully integrated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 study acknowledges its limitations in notexamin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urricula, instructional materials, or teaching methodologies in real-classroom contexts. These limit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subsequent research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d actionableins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