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益山 居住 晉州 蘇門의 학문 전통 - 지역학의 관점에서 본 전통시대 익산의 인문정신과 관련하여-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So Family of Jinju Living in Iksan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ith regard to the humanistic spirit of Iksan during the traditional era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s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02
2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益山 居住 晉州 蘇門의 학문 전통 - 지역학의 관점에서 본 전통시대 익산의 인문정신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4권 / 143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창호

    초록

    익산 거주 진주 소문은 蘇世讓의 文名을 통해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소세양은 후대까지도 문장 능력과 풍류호사로 지역 사회에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냈을 뿐 아니라 가문의 상징적 인물로서의 위상을 가진다. 소세양 이후 진주 소문은 蘇永福 – 蘇東道 – 蘇斗山 – 蘇凝天 – 蘇輝冕 등의 인물을 배출했다. 金長生, 宋時烈은 16세기~17세기 진주 소문의 학문 성향이나 정치적 입장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장생은 익산군수 재직 시기와 連山 낙향 시기에 지역 교화와 학풍 진작을 위해 노력했다. 송시열의 부친 宋甲祚는 소동도와 同榜 진사이며 송시열은 소두산과 師弟 관계였다. 仁穆大妃 폐모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에 송갑조와 소동도는 결연히 낙향을 결심했으며, 소두산은 평생 송시열과 정치적 입장을 함께 했다. 진주 소문과 恩津 宋門은 여러 차례 혼인 관계를 맺기도 한다. 소휘면은 老論 洛論의 학통의 중심에 있던 梅山 洪直弼의 高弟이다. 매산 사후 그가 익산 지역에서 매산 문집 간행을 주도한 것은 지역 문화사와 관련하여 눈여겨 볼 부분이다. 진주 소문은 대체로 西人-老論 학맥의 범위 내에 있었는데, 이와 달리 少論系 학자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학문세계를 구축하고 익산을 떠나 지리산 등에 은거했던 소응천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접근이 요구된다.
    조선 후기의 다단한 정치 상황에서 진주 소문의 인물들은 시기마다 정치적, 학문적으로 의미있는 역할을 했다. 목민관으로 善政을 베풀고, 直臣으로 강개한 논의를 마다하지 않았으며, 자유로운 삶의 방식을 통해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구축했고, 당대를 대표하는 학자의 고제로서 사회현실의 개선을 학문 탐구와 교육을 통해 의도하는 등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이 試論이 門中의 학문 전통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고, 익산 인문정신의 수확으로 귀결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o family of Jinju(晉州) living in Iksan(益山) earned a nationwide reputation through the literary distinction of So Se-yang(蘇世讓), who not only created many stories for his creative abilities and taste for the arts among the later generations, but also held the status as a symbolic figure of his family. After him, the So family of Jinju produced So Yeong-bok(蘇永福), So Dong-do(蘇東道), So Du-san(蘇斗山), So Eung-cheon,(蘇凝天), So Hui-myeon(蘇輝冕), and so on. Kim Jang-saeng(金長生) and Song Si-yeol(宋時烈) had big influences on the academic tendencies or political position decisions of the So family of Jinju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Kim Jang-saeng made efforts for the local reformation and academic tradition enhancement while he served as the head of Iksan Gunsu and went back to the rural life in Yeonsan. Song Gap-jo, the father of Song Si-yeol, was a Jinsa that passed the state exam in the same year as So Dong-do. Song Si-yeol had a teacher-pupil relation with So Du-san. When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bout the idea of taking Inmok Daebi(仁穆大妃) down from her position, Song Gap-jo(宋甲祚) and So Dong-do decided to go back to the rural life. So Du-san shared the same political position as Song Si-yeol throughout his life. The So family of Jinju formed a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Song family of Eunjin(恩津) several times. So Hui-myeon was an outstanding pupil of Maesan(梅山) Hong Ji-pil(洪直弼) that was at the center of the Nakron(洛論) scholastic mantle in Noron(老論). After Hong passed away, he took the lead in the publication of Hong's collection of works in the Iksan area. It was his achievement that is noteworthy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local culture. The So family of Jinju was generally within the scope of Seoin(西人) and Noron academic genealogy. There is a need for an in-depth approach to So Eung-cheon that was under the influence of Soron(少論) unlike his family.
    The figures of So family of Jinju play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meaningful roles during every period amid the eventful political situations in the second part of Joseon. The exhibited various aspects, governing well as a governor, hesitating no time to have righteous discussions as a faithful subject, building an academic world unique to their family in free lifestyles, and intending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reality through academic inquiries and education as a remarkable pupil of a scholar representing the times. This essay is expected to lead to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So family and result in the harvest of the traditional humanistic spirit in Ik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