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열관의 일상과 업무로 본 강점 말기 사상 통제의 이면 -도서과 검열관의 기행문과 수필을 중심으로- (The other side of ideological control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en through the daily life and work of censors -Focusing on travelogues and essays of censors in the Book Publishing 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02
32P 미리보기
검열관의 일상과 업무로 본 강점 말기 사상 통제의 이면 -도서과 검열관의 기행문과 수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60권 / 281 ~ 312페이지
    · 저자명 : 문한별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 말기 식민지 조선에서 출판과 언론 검열을 담당한 경무국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일상을 살펴봄으로써, 사상 통제의 주체들이 지닌 생각과 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경찰협회의 기관지인 『경무휘보』를 대상으로 하여,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일상이 담긴 기행문과 수필 등을 번역하여 분석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경무국 도서과는 1926년 4월에 독립된 부서로 설치되어 1943년 전시체제 하에서 정보과로 통합되기 전까지 식민지 조선의 출판과 언론에 대한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였다. 그들은 처음에는 매체 검열에 집중하다가 1937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제국의 선전 기관이자 언론 지도 기관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강점 말기 이들의 주된 업무는 ‘지방 출판 검열 방향성 지도 및 교육’, ‘언론 편집자 및 기자들의 사상 교육’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경무휘보』에 수록된 기행문과 수필에는 이 같은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활동이 세밀하게 서술되어있다. 특히 「전남여일기(全南旅日記)」에는 전남지방으로 검열 지원 업무 여행을 떠난 출판경찰의 일상과 업무가 담겨있고, 「동경의 눈(東京ゆき)」이라는 기행문에는 일본 본토로 사상 강화 교육을 받으러 간 도서과 직원의 소회가 실려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당시 도서과 출판경찰들은 전시체제기의 상황 속에서 업무의 사명감을 체제 옹호의 광기로 표출했지만 주어진 직무와 식민지 일상의 대립된 상황 속에서 이중적인 균열 의식을 보여주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oughts and viewpoints of the leading actors of ideological control in detail by examining the daily lives of the police officers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affiliated with the Police Bureau, which was in charge of publishing and media censorship in colonial Josea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anslated and analyzed travelogues and essays containing the daily lives of police officers in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ich were recorded in <Gyeongmu Hwibo>, an organ paper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e. As is well known,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of the Police Bureau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n April 1926 and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publications and media in colonial Joseon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under the wartime system in 1943. They initially focused on media censorship, but after 1937 they began to transform into an imperial propaganda and media guidance agency. Their main task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ummarized as 'Guidance and education on the direction of local publishing censorship' and 'Education of the ideology of media editors and journalists.' Police activiti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rticular, "Jeollanam-do Travel Diary" contains the daily life and work of the police officer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o went on a business trip to the Jeonnam region for censorship support, and remarks of the staff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o went to the mainland of Japan to receive ideological strengthening education, which was recorded in the travelogue titled "Training to Tokyo," draw our at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e officers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at that time expressed their sense of duty in the wartime regime as the madness of defending the regime, but showed a double sense of rift in the conflicting situation of their assigned duties and daily life in the col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