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冶隱의 詩‧文을 통해 본 志節과 隱逸에 대한 論辨 -새로 발견된 冶隱의 「走和詩」 소개를 겸하여 (Study on Ya-Eun′s Integrity and Retreat,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And the presentation of the newly discovered verse of Ya-eun, ‘Joo-hwa [走和]’)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1.05
42P 미리보기
冶隱의 詩‧文을 통해 본 志節과 隱逸에 대한 論辨 -새로 발견된 冶隱의 「走和詩」 소개를 겸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권 / 26호 / 657 ~ 698페이지
    · 저자명 : 박광민

    초록

    인간은 누구나 자연으로의 回歸와 名利를 추구하는 현실 安住의 矛盾된 개념이 意識속에 內在해 있다. 인간이 世慾을 버리기는 쉽지 않지만 超然히 마음을 비우고 歸去來의 삶을 실천한 사람은 전설 속의 許由, 춘추시대 吳나라의 季札, 後漢 光武帝의 벗 嚴子陵, 東晉의 陶淵明, 우리나라의 元天錫(1330~?), 南道振(1674~1735), 李夏坤(1677~1724) 같은 분들이 있다.
    麗末 三隱의 한 분인 吉冶隱도 高麗의 滅亡이라는 時代狀況에서 隱逸의 삶을 선택한 분이다. 冶隱의 文學이나 思想, 節義 등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분의 論稿가 나와 있고, 야은의 思想的·節義的 측면을 살피면서 文學的 특성을 살핀 論議의 방향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本稿의 목적은 麗末三隱에 대한 再檢討와, 冶隱의 文學에 나타난 삶과 隱逸의 정신적 배경을 살피는 데 있다. 아울러 새로 발견된 冶隱 詩稿를 소개하는 것도 이 논문의 목적 중 하나다. 論旨를 전개하면서 그때그때 先行硏究의 성과를 살피되 이미 잘 알려진 내용은 再論하지 않고, 本稿에 꼭 필요한 부분들만 살피겠다.

    영어초록

    Whoever and whenever we are, we desire fame and wealth during our life time. Though, in the same time, we also yearn for simple living in nature. And these two conflicting ideas always stay together in our mind. When we look over the history, we can find that there were many who voluntarily retired to their home to pursuit their principl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as well who inevitably chose a life in retreat, expecting to be appointed by their king again.
    Gil-jae (Ya-eun) was one of ‘Sam-eun [三隱]’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midst of the fall of Goryeo, he resigned from the government office and retreated to the country.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his literature, principles and integrity, and most of studies read and analyzed his literary works with his principles and integrity.
    This study re-examines the ‘Sam-eun’ of the Goryeo dynasty, and explores the moral background of Ya-eun’s life and retrea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his newly discovered verse, ‘Joo-hwa [走和].’ Even though there are some critical point of views over Ya-eun, he was a man who thoroughly practiced a life based on a Confucian doctrine. His compassion and selflessness, which appeared on ‘Bang-byel [放鼈詩]’, the verse which was written when he was a boy, tell us his principle in life, and it was his nature and his hope for the Confucian school, what his ‘Joo-hwa’ and ‘Post San-ga-seo [後山家序]’ manifest. While developing the ideas above-mentioned, the earlier studies on Ya-eun will be visited at times if necessary.


    Through examining the discourse upon ‘Sam-eun’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Ya-eun’s life, as well as his newly discovered verse ‘Joo-hwa’ and his literature,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as below:

    1. According to the record appeared in Sam-gang-hang-sil-do [三綱行實圖] and Goryeo-sa: The Family of King Gong-yang [高麗史-恭讓王世家], his resignation was not in 1390 but in the winter of 1389, around the fifth of December in the lunar calender, just after King Gong-yang ascended the throne. In addition, according to Dong-gam-jeol-yo [東鑑節要], vol. 4: King Gong-yang and Goryeo-sa: The Biography of Jeong, Mong-ju [高麗史-鄭夢周列傳], the time of his returning home was corrected as past the fourth of April in 1392, after the Po-eun’s death for integrity.
    2. According to Yang-chon-jib [陽村集], vol. 20: The Postscript to the Poetry Collection of Gil-jae, it is probable that there is an unknown collection of Ya-eun’s works, which has not been discovered yet.
    3. Ya-eun’s retreat was the consequence of his loyalty to the declining Goryeo and of his compassion and selflessness, which were inherent in his mind.
    4. We can infer that the ‘Joo-hwa’ verse was created in late autumn of 1390, the second year of King Gong-yang.
    5. Ya-eun lived up to the teaching of ‘Wei Ling-kung’ in the Confucian Analects, “When good government prevails in his State, he is to be found in office. When bad government prevails, he can roll his principles up, and keep them in his breast.” and set an example for a man of virtue, as a man of loyalty and upright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