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여성과 일본군 위안부라는 문지방들 - 목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New Woman and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s Thresholds - Retrospecting Studies on Colonial Sexuality in the Ruins of Pastoral Capitalis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4.12
34P 미리보기
신여성과 일본군 위안부라는 문지방들 - 목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33호 / 7 ~ 40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초록

    이 논문은 1990년대와 현재의 시간성을 교직하며 1990년대 이후 이루어진 식민지 섹슈얼리티에 대한 연구를 되돌아보는 데 있다. 1990년대에 대한 노스탤지어는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와 같은 TV드라마를 통해 유포되고 있는데, 그 드라마는 자본주의적 사회 환경을 개인의 성장과 조화로운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간의식을 목가적 자본주의라고 명명했다. 개인의 성장은 대학입학을 위한 서울로의 상경, 낭만적 연애, 직업을 얻는 것, 첫사랑과의 연애를 통해 그려진다. 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하거나 유예한 삼포세대에 관한 담론, 일베 저장소와 같은 웹사이트에서의 여성혐오 담론을 고려한다면, 이와 같은 문화적 텍스트는 목가적 자본주의의 불가능성, 즉 그 폐허의 산물이다. 신여성 연구와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시기는 여성주의가 대학의 교과과정으로, 또 문화적 텍스트로 발전되었던 때이기도 하다. 특히 신여성 연구는 사회주의권의 해체와 함께 80년대 급부상한 마르크스주의적 변혁패러다임이 폐기되면서 ‘근대성’ 연구의 붐에 있어 선편적인 역할을 했으며, 무엇보다 당대 민족주의의 억압성을 비판하는 담론에 조응하는 효과를 낳았다.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매춘’과 ‘성폭력’을 이슈로 제기된 여성운동의 흐름 속에서 제기되긴 했지만, 식민주의 극복이라는 과제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신여성과는 다른 위상을 지니게 된다. 민족주의는 정대협에 의해 주도된 위안부 운동의 성격을 비판하는 용어가 되었는데, 이 글에서는 이러한 민족주의 비판이 위안부 피해자의 고백이나 증언이 애초부터 ‘상상의 공동체’를 향해 이루어졌음을 환기할 때 과도한 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신여성이 당대에서부터 다설(多說)의 대상이 된 반면, 위안부는 오랫동안 침묵의 대상이 되어왔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 지연에 개입된 문제는 민족주의만이 아니라 식민주의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지배는 종족적으로 이원화된 식민지 사회의 친밀성을 인종화된 언설과 정치를 통해 재구축하는 과정을 수반하였다. 이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는 이를 광범위하게 논증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영어초록

    This paper's purpose is to retrospect studies on colonial sexuality after the 1990s, being concerned with temporality of the 1990s and the present. Nostalgia for the 1990s has been spread by TV drama <Answer! 1997>, <Answer! 1994> in which described that times when capitalist social environment was reconciliated with individual growth which was expressed through heroine and hero in the drama coming up to Seoul to enter university , romantic love, getting a job and marriage with first beloved. In this paper, I called the time consciousness of the 1990s as the pastoral capitalism, which proved impossible, considering the discourse on Sampo generation[삼포세대] who gives up romantic relationship, marriage and childbirth owing to economical condition. The misogynic discourse of Ilbe Storage[일베저장소], website of having anti-leftist, anti-feminist and right-wing tendency, reveals homo social and nationalistic feature. Studies on new women and comfort women in colonial period of Korea have begun in the 1990s. The rise of feminism was developed into curriculums of universities and popular cultures, which was prompted by democratization and liberalism of Korea around the late 1980s and the early 1990. In that same times, deconstruction of communist nations in the Western World forced the social landscape of post capitalism to be articulate in the cultural and intellectual texts with erasing pursuits for historical cause based marxism.
    The boom of studies on modernity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reached its peak in studies on new woman, in which new woman was described in heroine of modernity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m and enjoyment of commercial culture of colonial capital Keijo [京城]. Many of scholars criticized on the negative discourse of new woman in the colonial period in reason of their behaviors not to meet nationalist cause. Of course, most of scholars were female intellectuals educated and teaching at universities. New woman became a representative representation of modernity and trans-nationality from the 1920s to the early 21th. On the other hands, comfort women became a nationalist representation, although a lot of feminists criticized that comfort woman movement leaded by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ave made the representation as pure girls in sexual. However, it needs to accent the fact that repetitive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tended to "imagined community" and that various contents of which didn't satisfy with nationalist representations and narratives could also be told by listening to request to tell the painful experiences as comfort women. The fact it needed a long temporal gap for them to able to tell the experiences suggests to ne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lonialism and sexuality. Study on colonial sexuality need to reconstruct intimacy in the colonial society into the racial discourses and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