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코 다와다의 번역시학 – 「번역자의 문 또는 첼란이 일본어를 읽다」와 「거북이 문자」를 중심으로 (Übersetzungspoetik Yoko Tawadas - Anhand der Texte “Das Tor des Übersetzers oder Celan liest Japanisch” und “Schrift einer Schildkröt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1.12
33P 미리보기
요코 다와다의 번역시학 – 「번역자의 문 또는 첼란이 일본어를 읽다」와 「거북이 문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2권 / 4호 / 117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진영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요코 다와다의 번역시학이 드러나 있는 「번역자의 문 또는 첼란이 일본어를 읽다」와 「거북이 문자」를 중심으로 다와다의 번역시학을 살핀다. 전자에서 작가는 첼란의 시집 『문지방에서 문지방으로』의 일본어 번역에 나타난 일곱 개의 한자가 門을 부수로 한다는 사실을 통해 門을 열쇠말로 삼아 시를 “아케이드”로 읽는 번역시학을 전개한다. 번역은 원본의 모사가 아니라 원본에 내재된 의미가 드러나는 새로운 육체라 한다. 첼란 시를 건축학적 구조로 접근하는 방식, 그로부터 나온 다와다의 번역시학은 벤야민의 번역 개념과 밀착되어 있다. 벤야민의 번역 개념에서 중요한 ‘글자 그대로의 성질’은 첼란 시의 번역가능성의 근거이다. 다와다는 이 개념을 「거북이 문자」에서 문학적 번역의 본질적 요소로 꼽는다. 하나의 시어를 문으로, 전체 시를 아케이드로 보는 다와다에게 원본과 번역의 관계는 시간적 선후관계가 아닌 공간적인 것으로 파악되며, 하나의 문학 텍스트에는 이미 수많은 낯선 언어들이 잠재적인, 미래의 번역으로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유는 다와다의 이중언어 글쓰기와도 연결된다. 모국어를 고수하는 작가들에게 고향 및 조국에 대한 의식이 각인되어 있는 반면, 다와다 문학의 토대는 언어로 짜인 초국가적인 상상의 공간으로 그 사이공간에서 언어 간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와다의 글쓰기가 생성된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setzt sich mit der Übersetzungspoetik Yoko Tawadas auseinander, die in den beiden für das Thema relevanten Texten “Das Tor des Übersetzers oder Celan liest Japanisch” und “Schrift einer Schildkröte” zum Ausdruck kommt. Im Ersteren berichtet Tawada über ihre Lektüre der japanischen Übersetzung des Gedichtbands “Von Schwelle zu Schwelle” von Paul Celan, in der sieben Ideogramme, die das Radikal “Tor” in sich tragen, an entscheidenden Stellen auftauchen. Das Radikal “Tor” funktioniert als Schlüsselwort, durch das Tawada Celans Gedichte als “Arkade“ durchwandert, wobei sie ihren Begriff der Übersetzung entwickelt, nicht als Abbild des Originals, sondern als einen neuen Körper, in dem sich eine dem Original innewohnende Bedeutung äußert. Diese Auffassung der Übersetzung beruht auf dem Begriff der Übersetzbarkeit bei Walter Benjamin. Tawadas Herangehensweise an Celans Gedichte als architektonische Gebilde und die daraus entstandene Übersetzungspoetik stehen eng im Zusammenhang mit Benjamins Sprachphilosophie und Übersetzungsbegriff. In der bisherigen Forschung wird hauptsächlich auf den theoretischen Ansatz fokussiert, ohne den Bezügen auf Celans Gedichte im Detail nachzugeh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zunächst versucht, Tawadas Lektüre von Celans Gedichten durch den roten Faden der sieben Ideogramme zu rekonstruieren, wobei die Wirkungszusammenhänge der Gedichte Celans auf die Übersetzungspoetik Tawadas deutlich werden. Dazu wird auch Celans Übersetzungspoetik skizziert und seine Übersetzung von Shakespeares Sonett 105 als Beispiel genannt. In der Analyse der Übersetzung Peter Szondis wird gezeigt, dass in Celans Übersetzung die Wörtlichkeit im Sinne von Benjamin im Vordergrund steht, die Tawada in ihrem Essay als Eigenschaft der Gedichte Celans für ihre Übersetzbarkeit herausgearbeitet hat und in ihrer Poetikvorlesung “Schrift einer Schildkröte” als wesentliches Merkmal der literarischen Übersetzung nennt. In den Gedichten Celans als “Arkade” ist die Relation zwischen Original und Übersetzung nicht zeitlich, sondern räumlich zu verstehen. Es gibt nicht nur eine Eins-zu-eins-Beziehung zwischen Original und Zielsprache, sondern in einem literarischen Text wohnen schon viele fremde Sprachen als potenzielle, zukünftige Übersetzung. Diese Auffassung verhilft dazu, Tawadas zweisprachiges Schreiben zu verstehen. Anders als die meisten Dichter, die auf der Muttersprache beharren und die sich bewusst oder unbewusst mit dem Heimatland verbunden fühlen, schreibt Tawada zweisprachig. Ihre Heimat wird nicht geographisch festgesetzt und der Boden, auf dem ihr Schreiben basiert, scheint weder Japan noch Deutschland, vielmehr ein transnationaler, durch die Sprache verwobener imaginärer Raum zu sein. Ob Tawadas Schreiben in einer globalen Zeit, in der man viel reist und seinen Wohnort frei aussuchen kann, realistisch ist und sich als neue Weltliteratur etabliert, steht off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