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기시대 남강유역 조ㆍ전기 주거지 연구-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 출토 주거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arlyㆍFormer Residential Area of the Nam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04
23P 미리보기
청동기시대 남강유역 조ㆍ전기 주거지 연구-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 출토 주거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동기학보 / 12호 / 4 ~ 26페이지
    · 저자명 : 정지선

    초록

    최근 발굴의 증가로 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조전기 주거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있다. 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조기는 돌대문토기 뿐만 아니라 이중구연토기, 거치문토기, 공렬문토기 등이 함께 확인되고 있어, 이를 이른 시기의 양상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남강유역에서도 이러한 토기들이 돌대문토기와 공반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돌대문토기와 형태가 유사한 폭이 좁은이중구연토기가 확인되었다. 이 이중구연토기와 돌대문토기는 서로 공반하기도 하고, 단독으로도 존재하기 때문에 양자의 관계는 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성립기와 관련해 중요한 문제이다. 즉, 돌대문토기만을 중심으로 하는 단독기의 설정이 가능한지, 혹은 돌대문토기를 비롯한 이중구연토기, 거치문토기, 공렬문토기 등을 포함하는 조기의 설정이 가능한지의 문제와 관련된다. 이것을 밝히기 위해 개별주거의 분석과 함께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를 중심으로 하는 토기의 편년을 진행하였다.
    주거지와 유물의 편년을 통해 남강유역의 조전기주거지는 4단계 2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ㆍ2단계는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a를 중심으로 하는 남강유역 Ⅰ기로, 기존의 조기와 전기를 포함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1단계에는 돌대문토기가 중심이고, 향후 신석기시대와 관련된 양상이 확인될것으로 판단한다. 2단계는 돌대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a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가 남강유역에 유입되면서 정착해 가는 시기로 보인다. 3-4단계는 이중구연토기bㆍc와 구순각목문, 공렬문을 중심으로 하는 남강유역 Ⅱ기로 설정 할 수 있다. 기존의 전기 전반 일부와 전기 후반을 포함하는 시기이다. 가락동식토기가 출토되는 3단계는 주거지의 수적 열세가 있고, 2단계와 주거지에서 공통되는 점도 있지만, 돌대문토기가 소멸된다는 점에서 1ㆍ2단계와는 구분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4단계는 흔암리식토기가 다수 확인되고, 이중구연이 흔적으로만 남아 공렬문만 시문되거나 단사선문만 시문되는 경우로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주거지의 소형화와 함께 나타나는데, 공렬문이나 구순각목문, 구순각목공렬문의 비중 또한 점점 높아진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on the earlyㆍformer residential area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is proceeding active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recent excavations. In the early days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Ijunggyyeon, Geochimun, Gongryeolmun earthenware as well as Doldaemun earthenware have been confirmed and they are tended to be aspects in the early period.
    This earthenware in the Nam River basin have been associated with Doldaemun earthenware, narrow Ijungguyeon earthenware that is similar to Doldaemun earthenware among them was confirmed. Ijungguyeon earthenware and Doldaemun earthenware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are present independently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an important issue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Bronze Age. In other words, it's related whether the independent period is set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whether the early period including Ijunggyyeon, Geochimun, Gongryeolmun earthenware as well as Doldaemun earthenware is set.
    The pottery chronology was conducted focusing on Doldaemun earthenware and Ijungguyeon earthenware with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ly residential area to uncover this point.
    Through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chronology of the relics, earlyㆍformer residential area in the Nam River basin can be distinguished 4 steps and 2 periods. Step 1,2 is I period in the Nam River basin focusing on Doldaemun and Ijungguyeon earthenware a and can be seen as the period including the existing early and former period. In the step 1, Doldaemun earthenware is centered, it's considered that patterns related to the Neolithic era in future will be confirmed. In the step 2, it seems to be the period of going to settle down as various cultures as well as Doldaemun and Ijungguyeon earthenware a were brought into the Nam River basin. Step 3,4 can be set as Ⅱ period in the Nam River basin focusing on Ijungguyeon earthenware b, c and Gusungakmokmun(9 types of a position of diagonal lines and a length), Gongryeolmun. This is included in some of the first part and the last part of the former period. In the step 3 that Garak-dong style earthenware are excavated, it has numerical inferiority of the residential area, there is a common point in the step 2 and the residential area but it can be seen as the period to be separated with step 1, 2 in that Doldaemun earthenware is destroyed. In the step 4, Heunamri style earthenware are confirmed a lot, Ijungguyeon remains as a trace so that it's changing in the case of questioning only Gongryeolmun or Dansaseonmun. This phenomenon has appeared with the miniaturization of the residential area, the proportion of Gongryeolmun or Gusungakmokmun(9 types of a position of diagonal lines and a length), Gusungakmokgongryeolmun is increasing hig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