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盡心이 먼저인가, 知性이 먼저인가? - 주자의 『맹자』 「진심상」 1장 해석과 程門 비판 (Is ‘Jinxin’ first or ‘Zhixing’ first?* Zhuxi’s Mencius, Jinxinshang Chapter 1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of Cheng School’s Comment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2
24P 미리보기
盡心이 먼저인가, 知性이 먼저인가? - 주자의 『맹자』 「진심상」 1장 해석과 程門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4권 / 119 ~ 142페이지
    · 저자명 : 주광호

    초록

    『맹자』 「진심상」 1장에 대한 程門 주석과 주자 주석 간의 가장 극명한 차이는 ‘盡心’과 ‘知性’의 순서에 있다. 정문은 대체로 ‘진심’을 먼저 하면 ‘지성’할 수 있다는 관점인데 반해 주자는 ‘진심’한 자는 이미 ‘지성’을 완수했다는 입장이다. 즉 정문은 ‘진심’이 먼저고 주자는 ‘지성’이 먼저다. 이렇게 ‘순서’가 다를 수 있었던 이유는 ‘진심’과 ‘지성’에 대한 양자의 해석이 달랐기 때문이다. 정문은 ‘지성’을 ‘내면의 도덕 본성에 대한 인지적 · 체험적 이해(求仁)’로 보고 있는데 반해, 주자는 ‘지성’을 ‘窮理’와 ‘格物’로 설명한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정문은 物我一體 · 天人合一로 극대화됨에 비해 주자는 다가오는 대상에 의해 동요되지 않고(氣不逐物) 직면한 모든 사태가 이치대로 처리되는(事必循理) 즉 ‘事物’의 일상으로 구체화된다.
    『맹자』의 이 구절에 대한 해석상의 순서 문제는 이렇게 정문과 주자의 사상적 지향의 차이를 확연히 대비시켜준다. 정문이 진심 → 지성(구인) → 지천으로 도덕성의 所從來를 추적해 들어가는 내면화 · 관념화의 길을 걸었다면, 주자는 격물궁리 → 지성 → 진심 → 應事接物로 시종 윤리적 ‘대상’을 향하는 일상적 구체화의 길을 걷는다.

    영어초록

    The most obvious difference between Cheng School’s annotation for Mencius, Jinxinshang(盡心上) Chapter 1 and Zhuxi's annotation is the order of ‘Jinxin(盡心)’ or To embody the mind completely and ‘Zhixing(知性)’ or to know the moral nature. Cheng School is generally in the view that if you do “Jinxin” first, you can do “Zhixing,” whereas Zhuxi is in the position that the “Jinxin” has already completed “Zhixing.” In other words, “Jinxin” comes first in Cheng School, and “Zhixing” comes first in Zhuxi. The reason why the ‘order’ could be so different is that the two interpretations of ‘Jinxin’ and ‘Zhixing’ were different. Cheng School sees ‘Zhixing’ as ‘cognitive and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inner moral nature’, while Zhixi explains ‘Zhixing’ as an understanding of principles(窮理) and exploration of objects(格物). So, while Cheng School is maximized as a state of un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universe(天人合一), Zhixi is embodied as an ordinary daily object and situation(事物).
    The problem of the interpretive order of Mencius’s passage clearly contrasts how Cheng School and Zhuxi’s ideological orientation change. If Cheng School went on the path of internal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tracking the origin of morality with Jinxin → Zhixing → Zhitan(知天), Zhixi always walks the path toward an ethical ‘object’ in the direction of exploration of things → Zhixing → Jinxin → appropriately responding to objects(應事接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