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영문학 비평 이론의 지형도: 인용문헌 연결망 분석과 『비평과 이론』의 20년(1996-2015) (Topology of Literary Theory: A Citation Network Analysis of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1996-2015))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한국 영문학 비평 이론의 지형도: 인용문헌 연결망 분석과 『비평과 이론』의 20년(1996-2015)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27권 / 1호 / 57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용수

    초록

    학술지 『비평과 이론』은 1996년 창간한 이래 지난 20여 년 동안 서구의 문학비평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문학 연구를 자극하고 비평 이론 논의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영미권 인문학계를 풍미하던 후기구조주의 경향의 이론들에 대한 한국 학계의 적극적 관심,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학 연구의 철학적 기반이나 방법론을 얻으려는 욕구의 폭발적 증가 등에 능동적으로 부응하여 다양한 문학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생산적 토론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학술장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고 할 만하다. 이들 이론이 한국 인문학계에서 어떻게 소화되었고 학술 담론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나아가서 문화 전반에 어떤 파급 효과를 일으켰는지 등의 문제는 지식사회학적 입장에서 중요한 질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비평과 이론』이 구체적으로 어떤 이론을 얼마만큼 다루었는지, 그들 간의 상호 관계는 어떠했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양상이 어떻게 변모했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비평과 이론』에 담긴 이론의 전체상, 개별 이론의 특징과 그들 사이의 관계, 그 시계열적 추이를 이해하는 것이 이러한 지성사 작업의 작지만 중요한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비평과 이론』에 실린 논문들의 인용문헌 저자들 간 연결망을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하나의 학술지가 품고 있는 이론의 전체 지형과 변화 양상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was launched in 1996 by a group of Korean English literary scholars who were deeply invested in literary theory. It was an attempt to introduce new literary theories and to facilitate discussion on them, accommodating growing interest in post-structuralist theories and fulfilling the increasing need to get new literary methodologies. In fact,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has helped forge a dynamic discursive field of literary theory in Korean academia,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from postcolonialism to deconstruction to film theory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s inception. It will be crucial,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to ask such a question as how these “new” theories have shaped the academic discourses and affected Korean culture at large. In this context, it is equally important to understand which theories to what extent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has covered, how they are interrelated, and how their overall contour has changed over time. This sort of research will be a small, but significant first step for an intellectual historical work on literary discourses. This paper draws a topological map of literary theory in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through citation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 grasp the general constellation of the literary fiel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theories, and their temporal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과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