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작문에서 바람직한 제목 쓰기에 대한 제언 -문화비평문 제목 쓰기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quisites for and Structure of the Good Titles by Analysing the Titles of University Students’ Writing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12
27P 미리보기
대학생 작문에서 바람직한 제목 쓰기에 대한 제언 -문화비평문 제목 쓰기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23권 / 53 ~ 79페이지
    · 저자명 : 양현진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제목 쓰기를 지도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와 효율적 학습 방법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제목은 관련 텍스트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면서 해당 텍스트와는 또 다른 하나의 텍스트를 형성하는 독특한 지위를 지닌다. 제목은 텍스트 해석의 시발점이면서 귀결점으로, 텍스트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제목의 대표성과 독립성이 보다 강화되는 신문기사 제목이나 영화 제목 등에서는 제목 쓰기에 관한 논의가 활발한 반면 대학 글쓰기 분야에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제목 쓰기’의 실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다.
    바람직한 제목의 요건과 형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의 전략, 저널리즘의 제목 작성 원칙 등을 이론적 기반으로, 대학생 글쓰기의 제목 작성 사례를 분석·평가하면서 제안하였다. 이 논문은 특히 이화여자대학교 2012학년도 1학기 <우리말과 글쓰기(Korean Language & Writing)> 수강생들(자연과학대와 조형예술대 학생으로 이루어진 2개 분반, 총61명)이 수행한 제목 쓰기 경향을 분석하여 현 대학생 작문에서 제목 쓰기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올바른 제목 쓰기의 요건을 실천적으로 제안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Ⅱ장에서는 제목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목표로, 학생 글의 제목에 자주 나타나는 저급한 유행어와 비속어, 원전의 맥락을 도외시한 인용, 호기심 유발형의 수사의문문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적절한 인용과 수사의문문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Ⅲ장에서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설득을 지향하는 정보 전략형 제목의 개념을 근간으로 학생들이 작성한 제목을 분석하였다. 주제 파악이 그릇되어 메시지가 왜곡되는 양상, 주제에 대한 설명이 부재하여 제목과 본문 텍스트의 관련성이 미약해진 경우, 단어 선택이 부적절하거나 문법적 완결성이 부족하여 메시지가 불명료해진 상황 등, 다양한 층위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cessity to make theoretical lecture system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university level writings. Titles not only show the abstracts of the writings but also themselves are parts of the writings. Titles are the starting points as well as ending points to understand any writings. Studies on how to make good titles in university-level writings are not much done, whereas, effective title making is much discussed in newspapers and movies. Based on lecture experiences in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ctical and systematic way to make good titles.
    This study analyses writing examples of Ehwa Wemen's University year 2012 1st half semester “Korean Language & Writing” students. The lecture had two classes, 61 students totally who belong to natural science college and art & design colle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tles of university students’ writings and suggests practically the requites for good titles. The requisites for good titles are based on Aristoteles’s three strategies for persuasion-ethos, pathos and logos.
    First, ethos that Aristoteles explained as the first requisite of persuasion, represents trustworthy quotation, decent attitude and modest expression inducing readers’ agreement. There were many inadequate titles in students’ writings. Such were titles that had vulgar buzz words, mis-matching quotations damaging the trustworthiness of the writings or inappropriate usage of rhetoric questions weakening the writings’ impact.
    Pathos and logos are good complement for each other. Pathos means emotional persuasion and logos represents logical persuasion. Emotional appeal is thought to be less valid and probable than logical appeal. However, pathos is not a tool used inevitably when logos has not any effect. Pathos can touch delicate and subtle area that logos can not reach. Not to mention titles devoid of logical power, many writings of university students have not so much persuasive titles which have logical power to persuade but don't have emotional power to persuade. Appropriate mixture of logical persuasion and emotional persuasion is necessary for good titles.
    For effective emotional persuasion, titles need to express writers’ points of view, feeling and emotional waves. Because titles have not much room for words, metaphor can be adequate expression method. In many case, students’ titles have cliche, old-fashioned metaphor and awkward expression.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need to be done for students to make original and fresh titles that have emotional power as well as logical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