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 「공유화쟁문」의 화쟁론 체계 연구 - 불이공지유 개념을 통한 사구긍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Wonhyo’s System of ‘Reconciliation of Emptiness And Existence’ - Focusing On The Affirmation of Four Phrases Through The Concept of ‘Existence Not Different From Emptiness’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8
34P 미리보기
원효 「공유화쟁문」의 화쟁론 체계 연구 - 불이공지유 개념을 통한 사구긍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7호 / 95 ~ 128페이지
    · 저자명 : 표석환

    초록

    이 연구는 화쟁국사로 잘 알려진 통일신라시대 원효의 화쟁론이 불교 교리적 소통과 화회를 목적으로 저술되었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수행되었다. 『십문화쟁론』의 잔간 중 화쟁의 형태를 일부나마 유지하고 있는 「공유화쟁문」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논리적 분석에 기초하였다.
    원효는 부정(否定)을 통한 공(空) 인식을 전제로 언어를 떠난 이언지법(離言之法)인 공(空)과 언어에 의지하는 의언지법(依言之法)의 유(有)가 다르지 않다는 불이공지유(不異空之有)의 개념에 입각하여 사구(四句)가 긍정됨을 논증하였다. 즉 원효는 공 인식을 위해 색(色)과 색업(色業)의 제거라는 부정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공과 유가 다르지 않다는 불이(不異)의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화쟁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공과 불이의 인식 기반 하에 사구가 긍정됨을 밝힘으로써 경전과 각종 논서에서 상용적으로 쓰이던 종래의 사구 부정을 한 단계 발전시킨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불교의 전통사상을 재해석하여 발전시킨 점에서 독창적이고 우수한 면이 있고, 이러한 사상적 전개는 비단 불교이론의 테두리 내에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철학 일반이론으로까지 확장성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공, 불이, 사구긍정은 불교의 핵심사상이자 철학적 일반화가 큰 주제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서양 철학과의 연계점을 찾아 이를 종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theory of reconciliation of Wonhyo, a prominent master of the State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was written for the purpose communication and harmony of Buddhist doctrine. Among the remainder of the Reconciliation of Ten Questions (十門和諍論), it is based on a literary consideration and logical analysis of Reconciliation of Emptiness and Existence (空有和諍門), which retains some form of reconciliation.
    On the premise of recognizing emptiness through denial, Wonhyo has demonstrated the affirmation of four phrases, based on the concept of ‘existence not different from emptiness’ (不異空之有) which stat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mptiness of the reason of knowing beyond language, and the existence of the reason of relying on language. In other words, Wonhyo used the method of denial, the elimination of form and its karma for cognition of emptines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reconciliation by presenting the concept of ‘not different’ (不異) that emptiness and existence are not different. By revealing that four phrases are affirmed o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of emptiness and ‘not different’,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tional four phrase negation, which was used commercially in scriptures and various treatises, has been developed one step further.
    It is original and profound in that it reinterprets and develops traditional Buddhist thought. Moreover, this philosophical development is not only meaningful within the boundaries of Buddhist theory, but also extends to the general theory of philosophy. In addition, emptiness, not different, and the affirmation of four phrases are the core ideas of Buddhism and a subject of great philosophical generalization. In the future, more in-depth research on them will be needed to find connections with Western philosophy and to synthesize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