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장선생안을 통해 본향리가문의 지속과 변화 -경주 『戶長先生案』을 중심으로- (The Continuance and Changes of Hyangri Families based on Hojang Seonsaengan -With a focus on “Hojangseonsaengan” of Gyeongju-)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09
34P 미리보기
호장선생안을 통해 본향리가문의 지속과 변화 -경주 『戶長先生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98호 / 7 ~ 40페이지
    · 저자명 : 권기중

    초록

    본 논문은 경주 『호장선생안』을 통해 조선시대 경주 호장층의 존재양상과 향리 가계의 계승과 단절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호장선생안』은 舊案과 新案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안․구안을 모두 합하여 선생안에는 324명의 인물이 435회 임명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 숫자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성씨별 분포를 간략히 살펴보면 김씨가 가장 많은 호장을 배출하고 있으며, 최씨, 이씨, 손씨, 정씨, 박씨 순으로 호장을 배출하고 있었다. 엄씨를 제외한 김씨 등 6姓은 모두 主邑인 경주를 본관으로 삼고 있다. 시기별로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김씨가 호장 가운데 16세기까지 가장 많은 횟수로 호장에 임명되고 있었다. 17세기 이후에는 최씨가 가장 높은 빈도로 호장에 임명되고 있다. 16세기까지 가장 많은 호장을 배출했던 김씨는 17세기에는 이씨보다 적은 수의 호장을 배출하더니, 18세기이후부터는 그 비중이 최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이씨는 17세기에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다가 서서히 줄어들어 19세기에는 10% 미만의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 손씨는 16세기까지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다가 18․19세기에는 최씨 다음의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20세기에는 최씨가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는 와중에 김씨가 15.4%의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20세기에는 엄씨가 호장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이같이 호장을 역임하는 성씨는 지속성을 지니면서도 시기에 따라 그 성쇠를 달리하고 있었고, 미미하나마 새로운 성씨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는 시기에 따라 가장 영향력 있는 향리 가문이 달라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구안과 신안에 기록된 호장 명칭은 적지 않은 차이가 나는데, 구안에는 국가로부터 직첩을 받은 섭호장, 정조호장, 안일호장이 다수를 차지했으나, 신안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들 호장의 재임기간은 구안에서만 확인되는데 전반적으로 그리 길지 않았다. 호장 가운데 감영리, 병영리 등 영리로 이직한 성씨는 최씨와 김씨가 가장 많았는데, 특히 병영리로의 진출은 최씨가 압도적이었다. 호장층의 외조 성씨는 경주의 주요 호장 성씨와 거의 일치했다. 호장을 배출한 경주의 김씨, 최씨, 이씨, 박씨, 정씨, 손씨가 또한 그들의 혼인 상대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조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성씨별 가계를 추적하여 호장의 가계가 장기간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경주에는 경주를 본관으로 하는 다섯 성씨가 호장 세계를 주도했으나, 그 내부에서는 호장 직역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속에서 계승과 단절의 양상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동일한 가계내에서 호장이 계승되더라도 세대가 거듭될수록 자손 가계에서 호장을 배출하는 가계와 그렇지 않는 가계로 나뉘어졌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existence patterns of the Hojang class and the succession and severance of Hyangri family lines in Gyeongju during Joseon based on Gyeongju’s “Busaseonsaengan,” which consists of the old and new books. There are records of 324 people and 435 appointments in the old and new books of Busaseonsaengan.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 these numbers.
    The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family names in the books briefly and found that Kim produced the biggest number of Hojangs, being followed by Choi, Lee, Son, Jeong, and Park in the order. Six family names including Kim had their family clans originating in Gyeongju, the major town, and Eom was an exception. As for the distribution patterns by the period, Kim received the most Hojang appointments until the 16th century. Choi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being appointed as Hojang since the 17th century. Kim, who produced the most Hojangs until the 16th century, lagged behind Lee in the 17th century and produced less than half the number of Choi since the 18th century. Lee held the biggest share in the 17th century and gradually dropped in the share since then, recording less than 10% in the 19th century. Son, whose share was trivial until the 16th century, recorded the biggest share after Choi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Entering the 20th century, Choi took an overwhelming share with Kim accounting for 15.4%. Members of Eom family were also appointed as Hojang in the 20th century. These findings show that family names kept continuity in Hojang appointment and took different courses of ups and downs in different periods. Even new family names emerged in the books of Hojangs even though they were in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Hyangri families had the most influences in different periods.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titles of Hojang between the old and new books. In the old books, the majority of the titles were Seop, Jeongjo, and Anil Hojang whose appointment letters wer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ut their records were hardly found in the new books. Only the old books contained information about the term of Hojang, which was not very long overall. Choi and Kim recorded the biggest share in family names that transferred to Yeongri such as Gam and Byeong Yeongri. Choi held an overwhelming share in the advancement to Byeong Yeongri. The family names of the Hojang class on the mother’s side almost matched the major Hojang family names. Kim, Choi, Lee, Park, Jeong, and Son of Gyeongju that produced Hojangs were their marriage partners.
    Fin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family lines of Hojangs continued for many years by tracing the family line of each family name based on Sajo information. Five family names whose family clans originated in Gyeongju dominated the Hojang world in the city, but the pattern of succession and severance was repeated among them in fierce competitions over the Hojang title. Even in the cases of Hojang’s succession within the same family line, some would continue to produce Hojangs in their descendent generations, and others would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