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사 ‘은/는’, ‘이/가’의 의미와 기능—정언문/제언문의 구분을 중심으로—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Korean Markers ‘Eun/Neun’, ‘I/Ga’―Based on the Thetic/Categorical Distinc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6
35P 미리보기
조사 ‘은/는’, ‘이/가’의 의미와 기능—정언문/제언문의 구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83권 / 2호 / 299 ~ 333페이지
    · 저자명 : 김경화

    초록

    이 논문은 한국어의 조사 ‘은/는’과 ‘이/가’의 의미와 기능을 정언문/제언문의 구분에 근거하여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두 문장의 정의를 적용하여, 국어 문장을 정언문, 제언문, 그리고 제언문이지만 그 심층 의미는 정언문인, 즉 두 문장이 혼재하는(‘그건 식은 죽 먹기이다’처럼 중의적인) 혼합문으로 구분한다. 이후 그에 근거하여 ‘은/는’과 ‘이/가’의 의미와 기능을 밝힌다. 기본적으로 ‘은/는’은 그것과 통합한 체언구가 ‘발화자가 여러 후보 항목 중에서 선택한 항목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주어와 통합할 때 ‘~은 ~이다’의 이분된 정언문의 표지 역할을 한다. 한편 ‘이/가’는 하나의 특정 체언구와 용언구가 서로 호응하는 구조/관계를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제언문과 혼합문(관형절 함유문, 즉 ‘초점-전제’의 문형)에 실현된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목적어 뒤에는 실현되지 않고 보어나 제한된 환경에서의 부사어 뒤에만 실현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rves to identify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particles ‘Eun/Neun’ and ‘I/Ga’ in Korean as numerous research studies have over the past century, based on the thetic/categorical distinction. A similar study was conducted by Kuroda (1972). However, Kuroda (1972)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a phenomenon to explain the semantic and logical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categorical/thetic sentence, while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a speaker goes through to produce the two types of sentences. I assert that a speaker selects a NP to be predicated of during the first judgment and affirms or denies the predicate in the second judgment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categorical sentence, while the speaker only describes the event/phenomenon with the given NP and VP in the event/phenomenon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thetic sentence, and this applies to all sentences not only to the ones created when recognizing an event. My research also observes that a speaker describes what they perceive not only through sight but also through all senses such as touch, smell, etc. Another notable feature of the paper is that it categorizes sentences into three types of sentences instead of two. The third type is a compound of the two, that is, the categorical and the thetic. This third type is formed when either the NP or the VP of a thetic sentence is unknown, creating a focus on the missing part as in ‘Who opened the door?’-‘Mom (did).’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identifies ‘eun/neun’ as the marker of a categorical sentence when attached to the NP in the subject position, indicating that the NP has been chosen among candidates through the first judgment; and ‘i/ga’ as the marker that indicates the 1:1 exclusive relationship of the NP and its predicate, where the NP and the predicate are not selected by the speaker, but instead given in a situation/fact/phenomenon etc.(i.e., a context). It also demonstrates that the two particles may be attached to parts of speech other than the NP in the subject position, such as an adverb or a certain verb ending (e.g.‘-ji’ as in ‘-ji anta’), adding the same meaning to it as when they are attached to the NP in the subject position. While ‘eun/neun’ attached to other parts of speech does not affect the type of a sentence, ‘i/ga’ attached to any part of speech in a queston and its answer makes the sentence a compound one with a focus since it indicates the 1:1 relationship of the NP and its predicate. Also, this is the reason that ‘i/ga’ is attached to an adverb only in limited types of environments, and not to a NP in the object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전